남구 학익1구역과 동구 송림5구역 등 5곳은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됐고, 재개발사업인 부평5구역은 조합 설립을 마쳤다. 기본계획 수립(최초 2006년 8월) 전부터 추진되고 있는 대단지 재건축사업은 공사가 한창이다.
사업 유형별로 보면 재건축보다 재개발이 활발하다. 재건축사업의 부진은 사업 추진 전에 안전진단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의 사업 추진 의지가 매우 강하다"며 "올 연말에는 정비예정구역 상당수가 구역 지정 단계까지 진행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이 당선인은 용적률 상향 등을 통해 재개발·재건축을 활성화시키겠다고 공약했다. 규제 완화 방안이 아직 구체적으로 나오지는 않았지만 주민들의 기대감은 크다. 그러나 새정부가 용적률을 높이고 부동산 세제를 완화해도 '임대주택 의무 건설' '학교·기반시설 기부채납' 등은 주민들에게 여전히 큰 부담이다.
동구 A구역 조합원 조모씨는 "자기 땅을 내놔 공원·도로, 학교까지 만들라고 하는데 좋아할 사람이 어디 있냐"며 "주민들이 사업 추진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절차도 간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과밀화를 막기 위해 (제2종 일반주거지역)의 층수 제한을 없애야 한다"고 했다.
인천은 서울과 다른 광역시보다 용적률이 높아 용적률 상향 조정으로 큰 혜택을 볼 수 없다. 용적률 상향보다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기반시설 설치를 지원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조상운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인천은 용적률은 높은데 기반시설이 부족하다"며 "사업성이 낮고 주거환경이 열악한 구역은 공공이 기반시설을 설치해 줘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