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이면 입주가 시작되는 김포 한강신도시의 개발로 농업과 농촌 중심이던 지형도가 급속하게 변하면서 김포가 새로운 도약의 전기를 맞고 있지만 이를 현실화시킬 인프라는 태부족이다.

48번국도에만 의존하는 단선형 교통여건은 달라진게 없고 지역개발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경인운하 역시 10년이 넘도록 논란만 거듭하면서 답보상태다. 서해와 한강하구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김포평화시 지정 문제도 뚜렷한 진전이 없다. 주민들은 중앙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인 현안사업들에 대해 정치권이 좀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문한다.

■ 경인운하 = 95년부터 논의가 시작돼 2001년부터 추진됐던 경인운하의 현재 모습은 주변지역의 수해방지를 위해 운하의 주수로로 사용할 예정이던 굴포천의 폭을 40로 넓히는 공사만 2001년부터 진행되고 있다.

개발론과 환경론의 격렬한 대립과 갈등만 야기한채 잊혀진듯 하던 운하는 이명박 정부의 한반도 대운하계획으로 다시 전면에 등장하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2004년 8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진행된 경제성 검토에서 경인운하의 수익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만큼 대운하에 앞서 먼저 시작해보자는 의견을 내놓고 있지만 정부는 아직 결정을 못하고 있다.

약 2조원의 사업비를 들여 인천시 서구 서천동에서 서울시 강서구 개화동 행주대교까지 총 18㎞의 수로를 폭 80에서 100로 넓히고 수심을 6이상으로 만들어 컨테이너와 해사 등 물류운송의 주요 통로로 활용할 수 있는 운하사업이 표류하면서 이와 연계된 다른 사업들 역시 진전이 되지않고 있다.

■ 김포고속화도로 = 정부의 예산지원 부족으로 표류만 거듭하고 있다. 총연장 23.6㎞의 도로중 토지공사와 주택공사가 6천300억원의 비용을 부담하는 고촌면 풍곡리에서 통진읍 마송택지개발지구까지를 제외한 서울시 방화동 방화대교 남단에서 풍곡리까지 6.6㎞가 문제구간이다. 올림픽대로를 현재의 6차로에서 8차로로 확장하고 편도 4차선의 신규도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5천억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돼야 하지만 지원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2008년 정부는 이구간의 건설비용으로 100억원을 반영했지만 턱없이 부족하다. 이런식으로 예산이 배정되고 공사가 진행되다보면 신도시 입주가 끝나고도 한참이나 지나는 2015년이나 돼야 도로개설이 가능하다. 그런데도 정부는 여전히 소극적이다.

■ 김포 평화시 지정 = 남북간 대치상황으로 이용과 개발이 제한된 한강하구를 평화적인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서 시가 지정을 요청한 평화시 문제도 논의단계에 머물고 있다.

지난해 남북정상회담에서 서해의 평화적 이용방안이 거론되자 시는 발빠르게 개풍군이 보이는 하성면 일원에 평화시를 조성해 남북이 한강하구의 이용방안을 검토해보자고 정부에 건의했지만 아직 뚜렷한 진전은 없다. 2012년까지는 완공돼야 할 도시철도의 노선과 역사신설 문제, 북변 구도심 개발도 지역에선 뜨거운 현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