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신도시 동측에 들어서는 동탄2신도시의 개발주도권을 차지하려는 시행자간 치열한 전쟁이 벌써부터 시작되고 있다.

이에따라 서울 강남을 대체할 국내 최대규모의 동탄2신도시 청사진 구상보다는 한치의 땅이라도 더 확보하려는 시행자간 전쟁터로 변질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팽배하다.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12월20일 동탄2신도시 2천180만4천㎡를 택지개발 예정지구로 지정하고 사업시행자로 토지공사와 경기도시공사를 선정했다.

그러나 시행방식이나 시행지분 등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점은 아직껏 도달하지 못한 채 토공 등은 지구내 기업이전대책과 토지 및 건물 보상을 위한 지장물 기본조사에 착수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토공과 경기도시공사가 시행자간 지분확정 등을 둘러싼 물밑 접촉을 하는 과정에서 경기도가 50%이상 개발지분권을, 화성시가 화성도시공사의 지분 20%를 각각 요구한 것으로 알려져 지분확보 전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사정이 이런 탓에 동탄신도시가 지난달 31일 준공됐지만 바로 인접한 동탄 2신도시와의 향후 연계도로망 구축계획 등을 포함한 개발계획안은 지난 2월로 예정된 당초일정보다 계속 지연되고 있다.

도와 토공, 주공, 성남시 등 무려 4개 기관이 공동시행자로 선정돼 면적분할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판교신도시의 경우 시행자간 이견으로 인허가와 기반시설 설치 추진일정이 수년씩 지연되는 부작용을 낳았었다.

실제로 판교신도시는 지난 2001년 12월 지구지정된 후 보상착수 및 개발계획승인은 2003년 12월, 실시계획승인은 2004년 12월, 공사착공은 2005년 6월에 이뤄졌다.

반면 비슷한 면적의 동탄신도시가 지난 2001년 4월 지구지정된 이후 8개월 뒤인 같은해 12월 개발계획승인 및 보상착수, 2002년 12월 실시계획승인, 2003년 3월에 공사가 착공돼 판교신도시가 최소 2년여 이상 늦어졌다.

사업기간이 길어질 경우 그 만큼 원가비용이 늘어나는데다 각 시행자별 보상기준 및 가격이 달라 사업지구 전체의 조성원가 산출에도 애를 먹게 된다.

또 기반시설 설치도 불필요한 공구분할로 토량이동이나 가설도로 설치, 배수처리 등을 따로 해야하기 때문에 현장여건을 고려한 일원화된 공사계획 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지분문제 등으로 절차가 지연될 경우 조성원가 상승이 입주민들에게 그대로 전가되는 악순환이 되풀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