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기업이 본사를 인천으로 옮기면 입지·고용·교육훈련 관련 보조금을 주고, 행정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대기업 공장의 신·증설 규제' '공장건축면적 총량규제' '공업지역물량 제한' '과밀부담금 부과' 등 수도권 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도 마찬가지다. 일부 지역이 과밀억제권역으로 지정돼 있어 개발과 투자유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지난 2005년에는 삼성전자가 송도국제도시 5·7공구에 투자할 계획이었으나 수도권 규제로 무산됐다.
인천만 놓고 보면, 지역경제 발전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이대로 두면 안 된다는 지적이 많다. 정부가 관련 법령을 고쳐 조금씩 규제를 풀어주고 있지만 흡족할 정도는 아니다.
경제자유구역위원회가 강한 조정력과 추진력을 갖기 위해선 위원회를 대통령 직속으로 둬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또 경제자유구역법의 특별법화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게 지역사회 주문이다. 국비 지원 대상사업을 확대하고 국비 지원 비율을 상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이 있지만 개별법에 저촉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경인고속도로 서인천IC~인천기점 관리권 이관'은 중앙부처와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부분이다. 지역사회에서는 개발방식을 놓고 시와 주민 간의 갈등이 심하다. 국회의원이 사업에 직접 개입할 수는 없다.
'2호선·수인선 조기 개통' '검단신도시 확대'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송도신항 적기 건설' 등도 국회의원 당선자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다.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과 '2014 인천아시안게임'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협조도 이끌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