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교통을 단일화·광역화하기 위해 추진해 온 광역대중교통시스템 사업에 적신호가 드리워졌다고 한다. 이는 사업도입단계부터 예측이 가능했다는 데서 사업의지를 의심케 하고 있다. 선행돼야 할 광역자치단체간 정책조정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업을 진행한 것이다. 교통망을 시·도별로 따로 구축할 수밖에 없는 여건이 조성되면서 연결도로망인 광역교통체계는 막대한 예산만 투입된, 효과 제로의 사업으로 전락할 위기에 놓이게 됐다.

경기도와 인천·서울시 등 수도권이 신도시개발로 급성장하면서 생활권 단일화는 벌써부터 진행돼 왔다. 교통의 단일화·광역화는 당연한 조치로 이미 체계를 갖췄어야 했다. 한데 늦은 사업을 하면서도 교통행정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광역자치단체간 이해관계와 대립 등이 이번에도 발목을 잡아 사업효과를 훼손시키고 있다고 한다. 지자체간 협의조정을 거부하면서 수도권 광역교통행정체계를 구축키 위해 설립한 수도권교통조합이 제기능을 못하고 있다. 경기도와 인천·서울시가 수도권교통조합의 광역버스 사업계획 변경조정 권한을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광역교통망사업이 자치단체별로 진행되면서 오히려 부작용이 크다는 지적이다. 사업을 달리하면서 협의조정이 시급한 노선에 대한 협의가 전혀 안 되고 있어서다. 따라서 오는 2012년까지 22개 노선 540.4㎞에 걸쳐 구축하는 '수도권 간선급행버스체계 구축사업 추진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이러한 사정에 따라 주차수요에 대한 분석 없이 환승주차장을 설치, 기능이 무용지물화하고 있는 지역도 나오고 있다. 특히 급행버스가 이용을 기피하면서 교통흐름을 방해, 교통난마저 초래하는 등 난맥상을 보이고 있다.

수도권지역에 광역대중교통체계를 갖추는 것은 당면사업이다. 도시가 급팽창하면서 자치단체간 생활경계가 무너진 지 오래다. 교통흐름에 방해가 된다는 해묵은 지역이기주의로 인해 대세인 교통생활권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자기쪽 울타리만 보고, 전체를 살피지 못하는 우매의 극치라 하겠다. 교통의 경우 한 지역이 막히면 파급효과가 전체에 미친다는 것은 평범한 진리로, 지금이라도 조합의 업무범위를 확정하고 사무를 위임,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