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수원 광교신도시 아파트 3천300세대를 삼성 연구원들 몫으로 특별 분양을 추진키로 해 '특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도는 삼성같은 특정 기업 직원들에게 도내서 분양하는 아파트 등 주택 공급을 전면 확대할 방침이라 '서민들에게 위화감만 안겨주는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제기되고 있다.

14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2월 국토해양부에 시·도지사가 외자 유치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지방시책상 주택의 특별공급이 필요하다고 특별히 인정한 자에 관해서 아파트 등을 특별 공급할 수 있도록 해달라며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의 개정을 건의했다.

이에 국토부는 도가 건의한 내용을 반영한 주택공급 관련 개정안을 마련, 지난 2일 입법예고하고 의견을 수렴중이다.

도는 법안 개정이 완료되는대로 근무연수와 무주택자 등을 고려한 특별 분양 대상자 선정의 기준을 마련, 광교신도시 등을 시작으로 삼성 등 특정 업체 직원 등을 대상으로 특별 공급을 검토하고 있다.

이같은 주택법 개정안을 토대로 김문수 경기지사는 지난 9일 수원 경기중소기업지원센터에서 '자치역량 강화를 위한 읍면동장 연찬회'에서 "광교신도시를 짓는데 수원 삼성 연구원 1만6천여명 등에게 분양 우선 혜택을 주려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김 지사는 "내부 절차를 밟고 있는데 이렇게 지역 기업에 장기근속을 했다거나 특별한 기업 근로자들에게 해당 지역 주택에 살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특별공급 대상자 선정 기준 등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광교신도시의 경우 모두 3만3천세대중 10%인 3천300세대가 삼성 연구원 몫으로 배정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도가 개정된 주택공급안을 토대로 광교신도시를 포함한 도내서 공급 승인을 받은 모든 신도시 등 아파트를 특정 기업 직원에게 우선 분양하게 되면 일반인은 분양받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돼 '형평성 상실'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도의 삼성 연구원에 대한 아파트 특별분양 같은 지원대책에 대해 전혀 아는 바가 없다"고 일축했다.

도 관계자는 "도의 적극적인 기업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원 대책의 일환이지만 대기업 직원 특별분양으로 일반인 분양 물량이 줄어 분양 경쟁률이 높아질 것을 고려하고 있다"며 "엄격한 특별공급 선정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