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에 멍든 축산농민들이 호시탐탐 전업기회만을 옅보고 있다. 구제역이 진정기미를 보이고는 있지만 일단 큰 홍역을 치르고 있는 축산농민들은 앞으로도 시장개방 등 악재가 많아 수익성이 불투명한데다 정부의 미온적인 정책으로 불안한 나머지 축산업을 떠날 채비를 하고 있다.

특히 구제역의 직접피해를 입은 축산농민들의 경우 젖소에 대한 보상근거가 아직도 명쾌하게 제시되지 않은채 불만이 고조되고 있어 이 같은 탈 축산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1일 도내 낙동가들에 따르면 우유생산에 촛점을 맞춰왔던 이들은 이번 구제역사태 이후 생체부분에 대한 정부 대책에 불만을 표시하며 빠른 시일내 이 부분에 대한 뚜렷한 대책을 제시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구제역 피해지역 가축에 대한 보상책으로 소.돼지 등에 대해 생체가격 기준의 보상 근거를 마련, 구제역 발병에 놀란 피해지역 농가들을 달래고 있다.

그러나 살처분과 백신 예방접종 사이에서 생체가격을 기준으로 한 보상과는 성격이 다른 젖소에 대한 별도의 명확한 보상대책을 제시못해 낙농가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정부는 가축이동을 제한하고 있는 상황에서 납유물량분을 보상폐기하고 있으나 향후 구제역발병 확산방지를 위한 젖소의 살처분,백신 예방접종과 관련한 보상에 관해서는 아직 구체적 지침을 내린바 없다.

젖소의 예방접종은 실상 낙농가들의 우유생산에 종지부를 찍게 하는 것으로 생체위주의 보상이 가능한 소.돼지 등과는 성격상 분명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갈수록 팽배해 지고 있는 낙농가들의 불만은 낙농가 사이에 이번 기회에 아예 손을 떼겠다는 움직임으로 확산되고 있다.

실제 화성군 양감면에서 30마리의 젖소를 키우고 있는 김모씨(52)는 “ 파동이 끊이지 않는 낙농업은 불안해서 더 이상 지속할 뜻이 없다”며 “구제역사태 이후 이웃 농가들도 전업할 기회만을 옅보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沈載祜기자·s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