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부터 5년동안 경기도내 의약품 생산업체 30개가 수도권 규제 등을 피해 타 지역으로 떠났고, 앞으로 이전할 업체들도 수십 개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여기에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추진중인 '국제적수준의우수의약품생산시설(cGMP)' 로드맵과 맞물려 도내 제약산업의 '공동화 현상'은 심화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3면>

25일 박성훈 경기개발연구원 산업경제연구부 책임연구원이 발표한 '경기도 제약산업 공동화 대책에 대한 연구'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1년 기준 도내 의약품생 산업체는 302개였지만 2006년에는 272개로 줄어들었다. 이 기간 동안 떠난 의약품생산업체들은 주로 충청북도 오송산업단지로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연구원이 도내 의약품 생산업체 9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지난해 경기바이오센터의 설문조사를 종합한 결과는 앞으로 더 많은 기업들의 '엑소더스'를 예고하고 있다. 두 설문조사에서 중복되는 의약품 업체들을 제외해도 타 지역 이전을 확정한 업체가 32개나 된다.

이 가운데 12개는 충북 오송단지로 이전을 확정했고, 11개는 오송단지는 아니지만 충북에 새 둥지를 틀 계획이다.

나머지 9개 업체는 충북은 아니지만 해외를 포함한 타 지역으로 떠난다고 응답했다.

이전계획 수립을 끝냈거나 이전 지역을 물색중인 업체도 9개고, 장기적으로 이전을 고려하고 있는 업체도 28개에 이른다.

박 연구원의 설문조사 결과, 의약품 업체들이 떠나는 주 이유는 cGMP 로드맵과 수도권 규제다.

오는 2010년 cGMP가 전면 시행되면 시설기준을 맞추지 못한 업체가 생산한 의약품은 유통 자체가 금지된다.

하지만 도내에서는 수도권 공장 신·증설 규제에 막히고, 새로운 시설을 설치할 부지매입 비용도 비싸 보다 유리한 지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박 연구원은 "제약산업은 보험 등 서비스업 및 바이오산업 성장과도 연관이 깊어 이탈 현상이 지속될 경우 다른 분야마저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