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의약품 생산업체 수와 수익창출 등에서 전국 최강의 자리를 지켜왔다.

도내엔 지난 2006년 말 기준 국내 전체 의약품생산업체 781개 가운데 34.4%인 272개가 밀집돼 있었을 정도다.

집적효과도 타 지역보다 월등해 도내 의약품생산업체들은 우수한 기술과 공급능력, 높은 수익률을 자랑했다. 그러나 도내 제약산업에 최근 들어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도내 제약업체들이 충남 등지로 대거 공장을 이전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공장 신·증설 불가로 떠나는 제약업체=박성훈 경기개발연구원 산업경제연구부 책임연구원이 지난 2월 말부터 3월 초까지 도내 의약품생산업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유효설문지 90부)는 '탈경기도'의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조사에 응한 90개 업체 중 38개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로드맵을 경영상 가장 중요한 위협 요인으로 꼽았다. 이를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공장 신·증설이 필요하지만 수도권규제를 받는 경기도에서는 여의치 않은 것이 이전의 주된 이유다.

지난해 경기바이오센터의 설문조사에 응한 도내 의약품생산업체 145개 중에서도 31.7%에 해당하는 46개가 cGMP에 부합하는 시설 구축을 위해 사업장을 이전했거나 이전을 계획 중이라고 답했다.

▲cGMP 로드맵이란='현행 우수제조관리기준' 정도로 해석되고, 국제적인 기준에 맞추기 위한 조치라 '국제적 수준의 우수의약품생산시설'이란 의미로도 이해된다.

의악품의 유효성, 안전성,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공장의 구조·설비뿐 아니라 원료 구입부터 제조·품질관리·보증·포장·출하에 이르기까지 생산공정 전반에 걸쳐 요구되는 규정이다. 미국 FDA 등 선진국의 의약품관련 기관들은 이를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어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cGMP는 필수적이다.

식약청은 지난 2006년 11월 cGMP 로드맵을 발표했고, 이 로드맵에 따라 오는 2010년까지 단계적으로 선진국 수준의 기준을 적용한다.

지난해 7월부터 신약제조시설에 적용됐고, 오는 7월 전문의약품, 내년 7월 일반의약품, 2010년 10월 원료의약품 및 의약외품(내용고형제, 내용액제) 등으로 범위가 확대된다.

▲제약전용단지 조성 절실=박 연구원은 도내 제약산업 육성을 위해 도 차원의 신약 후보물질 발굴 연구 및 개량신약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신약 및 개량신약 개발을 할 수 있는 업체가 많지 않기 때문에 연 50억원 규모로 개발지원사업을 시행한다면 큰 유인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도내 대학, 연구소와 제약업체를 연결하는 전문기관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이미 타 지역에 부지를 매입한 대기업들 중 몇 곳은 도내에서 부지 확보가 가능하다면 이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며 "황해경제자유구역에 의약품생산업체를 위한 전용단지를 조성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