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의약품 생산업체들의 '탈경기도'가 가속화되고 있다. 2001년 302개였던 도내 의약품 생산업체는 2006년에는 272개로 30곳이 떠났다. 또 타지역 이전을 확정했거나 향후 이전계획이 있는 업체도 수십개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부분 오송단지 등 충북지역으로 옮겨가는 모양이다. 생명공학단지로 새로이 각광을 받고 있는 오송으로의 이전은 국가 전체적으로는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왜 떠나는가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살펴봐야 한다. 업체들 대부분은 2010년 국제적 수준의 우수의약품생산시설(cGMP) 전면시행을 앞두고 시설기준을 맞출 수 없어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이전할 수밖에 없다고 밝히고 있다. 누차 문제를 제기했듯 결국 수도권 규제로 공장 신증설이 불가능, 더 이상 수도권에서는 기업활동을 할 수 없다는 얘기다. 도내에서 부지 확보가 가능하다면 이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힌 업체가 상당수에 달하고 있는 조사 수치는 수도권 규제의 불합리성을 방증하고 있다. '반시장적 정서'로 과거 정부가 조장해 온 결과물이라며 시비를 따지기 이전에 기업의 탈경기도화가 비단 제약업체만의 상황이 아니라는 절박성을 인식해야만 한다. 생산성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성장의 '파이'를 키워야 할 기업들이 수도권, 더 나아가면 한국에서의 기업활동을 포기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라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정말 암울하다.
때문에 도내 기업의 '탈 경기도'를 넋놓고 관조해서는 안될 일이다. 해외 첨단산업을 유치한다며 백방으로 뛰고 있는 다른 한편에서 기존의 기업들이 경기도를 속속 떠나는 것을 방치한다면 어리석은 행정이다. 더구나 경기도는 세계적 수준의 바이오센터가 가동되고 있고 수도권의 우수한 인재를 보유하고 있는 곳이다. 얼마든지 창출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포기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
제약산업은 보험 등 서비스업 및 바이오산업 성장과도 연관이 깊어 연쇄적 타격이 심각해 질 수 있다. 업체들이 지속적으로 생산활동에 나서도록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 바이오산업에 대한 자금지원, 산·학·연 연계, 산업단지 조성 등 다양한 시책을 발굴, 추진해 경기도가 가진 이점을 살리는 것이 곧 한국의 경쟁력을 배가시키는 해답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의약산업 '탈경기도' 방지책을
입력 2008-06-26 23: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8-06-27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