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층의 로망, '전원주택'. 누구나 한번쯤 전원생활의 고즈넉함을 꿈꾸며 이곳에서의 생활을 그려본다. 도내 광주·양평·가평·용인 등은 그 중에서도 수도권이라는 특성에다 인프라도 우수해 인기가 상종가지만 최근 주민 이탈 조짐 등 심상치 않은 움직임이 일고 있다. 생활기반시설 불편 등의 문제는 제쳐두고라도 난개발로 인한 후유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기 때문이다. 전원주택 천국이라는 명함속에 가려 있는 전원주택, 그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 나아갈 방향 등을 짚어본다. <편집자주>

국내 전원 주택의 1번지는 단연 남한강과 북한강 일대이다. 서울과의 근접성에다 그림같은 풍경과 강물이 연출하는 이 곳은 꿈에 그리는 전원주택단지로서 결코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 별유천지인 셈이다.

그 가운데 백미는 양평·가평과 광주시 일대. 여기에 경기 남부지역인 용인 등도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 열기는 최근들어 더욱 거센 실정이다. 부동산 침체와 거리가 멀 정도로 전원주택에 대한 선호도가 남다르다.
 
 
▲ 경기도에 전원주택이 보편화되기 시작한지 20여년. 외형적으로는 더욱 화려해지고 규모화되며 위용을 갖춰가고 있지만 난개발로 인한 자연환경 훼손과 소음 등으로 거주자들의 불만은 높아지고 있어 '전원주택 천국'이란 명성이 무색해져 가고 있다. (사진은 용인의 한 전원주택단지 전경). /전두현기자 dhjeon@kyeongin.com

3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 90년대부터 불붙기 시작한 전원주택 열기가 요즘까지 계속되면서 이들 지역의 산림이 울창하고 경치가 좋은 곳은 영락없이 전원주택 단지로 둔갑, 곳곳이 무참히 파헤쳐지고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3면>

남한강과 북한강 일대를 끼고있는 양평의 경우, 지난 2005년 주택 부지를 위한 산지전용허가 건수가 618건(면적 69만7천㏊)였던 것이, 2006년 321건(45만6천751㎡), 2007년 368건(50만9천900㎡)으로 매년 수백건(평균 435건) 이상의 허가가 이뤄지고 있다.

경춘국도와 경춘선이 지나며 전체 면적의 80%이상이 산으로 이뤄져 청정지역인 가평은 지난 2005년 산지전용허가건수(주택건수)가 367건(76만4천205㏊)에서 2006년 199건(35만8천81㎡), 2007년 268건(64만4천947㎡)으로 평균 278건의 허가가 나갔다.

위치상 경기도의 중심부여서 편리한 교통과 쾌적한 환경으로 인해 인기가 높은 광주는 2005년 211건(18만5천514㏊), 2006년 26건(1만4천455㎡), 2007년 60건(21만5천437㎡) 으로 평균 100여건에 달하는 허가가 매년 집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열기에 따른 후유증도 심각한 상태이다. 수려한 자연환경이 무참히 훼손되는 난개발이 보편화되고 있다. 마구잡이식 산림 훼손은 예사이고 주변 하천의 지형까지 바꿀 정도지만 당국의 대책은 전무하다. 현재 당국은 도내 곳곳에서 우후죽순으로 생기는 전원주택의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등 속수무책이다. 단지 일부 개발업자나 기획부동산만이 여전히 판치고 지가상승만이 있을 뿐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전원주택이 경치 좋은 곳에 자리한다는 지리적 특성을 감안해 산지전용허가를 받고 부지조성후 집을 짓는 경우가 대다수인 만큼 이를 토대로 대략 짐작만 해볼 뿐이라고 한다.

이렇게 도내 주요 전원주택지에 매년 수백건에 달하는 허가가 나고 전원주택 착공이 이뤄지고 있지만 주택으로서 따로 파악되는 것이 아니다보니 정작 전원주택 천국이라는 명성이 무색하게 관리는 허술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러다보니 기존 전원주택 거주자들의 이탈 조짐도 뚜렷해지고 있는 상태이다.

양평군 서종면의 K부동산중개소 관계자는 "주변을 보면 공사중인 곳이 널려있는데 이를 관리해야할 지자체가 규모 파악조차 안된다니 말이 되느냐"며 "전원주택은 그 특성상 불법 시설 설치에 대한 유혹이 많고, 개별처리해야할 시설이 많은 만큼 보다 철저한 관리가 이뤄져야 하는데 사실상 힘든 것 아니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