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내년부터 확대되는 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UPOV)은 우리 종자산업계가 헤쳐나가야 할 첫 번째 관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수한 토종 종자업체를 선별, 국가가 연구사업 지원 등 국책 종자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 학계의 공통된 목소리다.
경희대 농생명과학부 이정명 교수는 "식량주권이기도 한 국내 종자시장이 환란을 전후해 외국시장에 잠식된 만큼 국내 기업을 경쟁력 있게 키워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가능성 있는 국내 종자업체를 발굴해 선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블루오션으로 불리는 종자산업에 있어 한국이 다른 나라보다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 작목별 산·학·관·연이 연계된 연구사업단을 늘리고, 비식량작물의 국산 품종 보급과 민간육종사업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등 국가차원의 R&D 투자도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종자협회 강상헌 회장은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나 국립종자원이 보유한 농업식물유전자원 중 비식량작물 유전자원 비율이 낮고 이마저도 특성조사와 리스트 작성이 미흡해 민간기업들은 필요한 종자를 자급자족하고 있다"며 "정부기관 중심의 지원을 민간기업 주도로 바꿔 산업화를 위한 연구인력 확충 및 R&D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종자산업의 지적재산권 보호와 피해예방을 위한 종자보험제도 도입도 시급한 과제 중 하나다. 내수시장이 아닌 수출산업으로 육성, 국제 종자시장에서 미래 자원전쟁의 승리자가 돼야 하는 것은 종자산업 육성의 지향점이다.
실제 국제 종자시장 규모는 300억달러를 상회하며, 국가간의 종자거액도 60억달러에 이를 정도로 종자산업은 미래산업의 골드러시 현장이다. 이에 따라 종자수출을 국가경쟁력으로 확대하기 위한 비즈니스모델을 정립하고 이를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의 종자산업 육성방안이 필요하다.
농림수산식품부 농생명산업팀 송지숙 사무관은 "채소류를 중심으로 2015년까지 1억달러의 종자수출을 목표로 중장기 산업발전 대책을 세우고 있다"며 "수출 장려를 위한 수매 우선 지원 및 검역 간소화 등 우대 정책을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