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경제를 혼란의 도가니에 밀어넣었던 현대사태가 20일만에 극적으로 타결됐다.

주말을 고비로 핵심쟁점이었던 자동차 계열분리안과 자구계획안이 현대, 채권단,공정위 3자간 일괄타결을 본 것이다. 이는 각 이해당사자가 더이상 실익(實益)없는게임을 계속할 이유가 없다는 인식이 작용했지만 시장혼란과 함께 국정불신을 낳고있는 이번 사태를 조기수습하려는 정부의 의지도 강력히 뒷받침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정부.채권단이 요구한 3개항중 지배구조 개선문제가 '미제'로 남겨진 점이 논란의 불씨로 작용할 공산도 없지 않다.

△극적타결=시기만 크게 앞당겨졌을 뿐 이미 예정된 수순이었다고 볼수 있다. 사태해결의 당사자인 현대가 사실상 '백기(白旗)'를 들고 채권단과 공정위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하는 쪽으로 태도를 바꿨기 때문이다. 채권단과 공정위로서는각기 방점을 찍은 '자구'와 '계열분리'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만큼 더이상 밀어붙일 명분이 부족해진 셈이다. 여기에 '발등의 불'이 떨어진 새 경제팀의 입장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계열분리안 = 현대사태의 근인을 제공한 자동차 계열분리안은 정주영 전명예회장의 자동차 지분 9.1% 가운데 6.1%를 매각, 현대건설이 발행한 채권을 매입하는등 현대건설 유동성을 적극 지원하는 쪽으로 매듭지어졌다. 결국 채권단 요구사항을십분 반영하면서 공정거래법도 충족시키는 해법을 찾은 셈이다.

△자구계획안 = 현대가 내놓은 현대건설 자구계획안의 핵심은 이행내역의 '견실화'다. 현재 5조6천억원 규모의 총부채를 4조원으로 낮추기 위해 1조5천억원의 유동성 확보계획의 투명성을 높인다는 의미다. 이에따라 현대측은 지난 5월31일 발표한 유동성 확보계획중 실효성이 떨어지는 5천억원을 고스란히 도려내고 단기적으로실현가능한 5천억원으로 대체한 것이다.

△지배구조 개선 = 문제경영인 퇴진으로 집약됐던 지배구조 개선문제는 현대가일정정도 '약속'을 하는 선에서 일단락됐다. 우선 외자유치와 유동성 확보등 현안수습을 위해 '즉각퇴진'은 어렵고 다만 추후 이사회와 주주총회 등 소정의절차를 밟아 거취여부가 결정될 것 이라는게 현대의 주장.그러나 일각에서는 결국 정부가 대(對)현대 압박에서 이렇다할 개혁성과를 얻지 못한게 아니냐는 곱지않은 시각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