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를 강타한 미분양 회오리에 원자재값 상승 등으로 건설경기가 바닥을 치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체들이 '마지막 보루'로 사업 리스크가 비교적 적은 도심 정비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다. 따라서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이하 도정법)에 의한 정비사업 지구가 수백여 곳에 달하는 경기도에서 사활을 건 정비사업 수주전이 과열될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29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2003년 7월 도정법이 시행된 이후 수립된 도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의해 현재 수원시(12곳)·성남시(5곳)·부천시(9곳) 등 16개 시에는 주거환경개선사업, 주택재개발·재건축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위한 78개의 정비구역이 지정돼 있고, 의왕시와 의정부시 등을 비롯한 7개 시의 27곳에서 추가로 정비구역 지정이 추진중이다. 여기에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는 모두 250개의 정비사업 계획이 세워져 있어 앞으로 정비구역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이밖에 도정법 시행 전부터 시작된 정비사업이나 구역지정이 필요없는 300가구 미만, 사업부지 1만㎡ 이하 정비사업들까지 합치면 도내 전체 정비사업 숫자는 무려 512개(사업완료 포함)에 달한다.

정비사업은 낙후한 기존 도심을 헐고 새 집을 짓는 사업이라 토지 매입과 택지 조성 등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는 절차가 생략되거나 대폭 축소된다. 조합이 주축이 돼 진행된 건설업체들은 시공이란 본연의 업무에만 집중하면 되고, 미분양으로 골치를 썩을 일도 없다. 직접 시행하는 사업보다 이익 폭이 적어도 수익이 안정적이란 것도 불경기 중에는 매력으로 작용한다.

이때문에 건설업계에서는 "정비사업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오가고, "정비사업에서 무너지면 정말 끝"이라는 등 위기 의식도 상당한 수준이다. 이미 포스코건설과 GS건설·롯데건설·대림산업 등 국내 굴지의 건설사들은 경기남부지역 수주전을 위해 수원시와 안양시에 사업소를 개설했다.

도내 A건설사 관계자도 "도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정비사업 현황을 꾸준히 스크랩하고 있다"며 "우리 뿐 아니라 타사들도 어떻게든 현 상태를 유지하면서 정비사업에 목숨을 걸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귀띔했다.

지난 9월말 결성된 경기도건설단체연합회가 최근 지역 건설업체들에게 인센티브를 줄 수 있는 방안을 도와 시·군에 요청한 것도 이런 정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도 관계자는 "신도시 및 택지개발사업에서 미분양 아파트들이 속출하고 있어 정비사업의 주가는 더욱 뛸 전망"이라며 "지역업체들에게 용적률 인센티브를 주는 사안에 대해서는 검토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