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지체·발달장애인들을 보호하고 재활시키기 위한 '장애인 그룹홈'이 최근 전국 지자체별로 속속 늘어나고 있다. 일상 생활 등 주거와 재활교육, 공동체 생활이 가능하기 때문에 당사자 가족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무환경이 열악해 당초의 취지가 퇴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경기도의 경우 장애인 그룹홈은 68개소로 시설당 3~4인씩 모두 274명이 입소해 보호를 받고 있다. 이들을 담당하는 사회재활교사는 시설당 1명으로 68명이 근무하고 있다. 시설당 1명뿐인 사회재활교사는 자신이 맡고 있는 장애인들의 모든 가사와 교육, 행정, 시설관리 등 1인 다역을 하고 있다. 하루의 일과가 고될 뿐더러 1주일 내내 근무하는 교사가 14명, 주 6일 근무자가 24명에 달한다. 이 때문에 사회재활교사의 평균 근무 연수는 1~2년에 불과하고 이직률도 63%에 이르고 있다. 교사의 과로와 사기 저하는 당연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그룹홈'의 질적 저하도 명약관화하다.

장애인들도 이 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이다.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이들이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보호와 지원이 있어야 한다. 소수라는 이유로 장애인 정책이 소외돼서는 안 되며 행정의 관심에서 멀어져서는 더더욱 안 된다.

장애인 시설과 교육이 '자립생활'에 역점을 두는 모델로 전환되는 조류에 발맞춰 이들을 위한 주거 및 교육 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하다. 우선 소신과 철학을 갖고 어려운 사람들을 도우려는 사회재활교사들이 좌절하지 않도록 대체인력을 확충해 전문적·체계적인 운영과 서비스가 정착되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장애인들도 일반인들과 똑같이 낮과 밤의 거주 장소를 분리해 생활하는 것이 재활면에서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시설 및 인력 확대를 신중히 검토해 봐야 한다. 최근 서울시는 형편이 어려운 장애인들을 위해 2012년까지 8천21억원을 투입, 장애인 행복도시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6천여개의 일자리 창출을 포함, 장애인용 임대·장기 전세주택을 908가구로 확대하고 자립생활체험홈과 영구 그룹홈 시설 도입 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경기도와 도내 시·군도 서울시의 이 같은 '무장애 도시' 정책을 타산지석으로 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