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현안 상당수는 중앙정부가 열쇠를 쥐고 있다. 시가 여러 채널·방식을 통해 수 차례 현안 해결을 건의했지만 변화의 문은 쉽게 열리지 않았다. 시는 공감대 형성이나 충분한 협의 없이 사업을 추진했고, 해당 중앙부처는 너무 일찍 빗장을 걸어둔 듯 하다.
시는 주경기장 건립비 절감을 위해 당초 계획보다 가변석을 늘리는 방안을 문화체육관광부에 제출했다. 또한 신설 경기장 수를 줄이고 인근 도시의 경기장을 활용하기로 했다. 최근에는 7만석 규모의 주경기장이 의무사항이라는 점을 내세우며 주경기장 신설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체육관광부는 입장 변화가 없다. 주경기장 신설은 무조건 안 된다는 것이다.
'경인고속도로 도심구간 일반도로화(서인천IC~인천기점 관리권 이양)'도 올해를 넘길 분위기다. 시와 국토해양부가 수 년째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쉽게 해결될 것 같지 않다.
이 현안이 해결되지 않으면 경인고속도로를 축으로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이 차질을 빚게 된다. 인천도시철도 2호선 건설사업도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시와 싱가포르 타이거항공이 추진하고 있는 '인천-타이거항공'은 올 연말 취항이 어렵게 됐다. 국내 항공업계의 반발이 심한 데다, '항공주권' 논란에 휩싸였기 때문이다. 요즘에는 경제상황이 좋지 않아 엎친데 덮친 격이 됐다.
'인천대 송도 이전 프로젝트' 등 PF(프로젝트 파이낸싱)사업은 부동산 경기침체와 금융위기 위협에 직면해 있다. 현재 인천도시개발공사 등 지역공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PF사업만 8건이다. '숨고르기'와 '사업성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민원 때문에 답보 상태에 빠진 사업들도 적지 않다.
연수구 동춘동 화물터미널 건립사업은 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고, 배다리(중구 신흥동 삼익아파트~동구 동국제강) 산업도로 개설공사는 중단된 상태다.
공영개발·민간개발·민관합동개발이 맞서고 있는 삼산4 도시개발사업 구역 지정은 결국 해를 넘기게 됐다.
환경파괴와 사업 타당성 문제로 수년째 논란을 빚어온 경인운하 건설사업도 아직까지 추진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
용유·무의관광단지 조성사업은 추진체가 아직 구성되지 않았다.
인천경제자유구역에 대한 투자유치와 구도심 개발 활성화를 위해 개선해야 할 제도가 많다.
정부를 상대로 한 시의 제도개선 요청은 내년에도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