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를 신청한 쌍용자동차가 일단 회생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는 보도다. 어쨌든 파산과 회생의 갈림길에 놓여있던 쌍용차로서는 반가운 소식이다. 지난 2일 법원의 의사타진을 접한 470개사로 구성된 쌍용차협동회채권단은 법정관리인에 대한 동의서를 법원에 제출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평택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짐은 물론 지역경제를 다시금 살릴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달초 평택과 창원공장의 모든 생산라인이 재가동되고 부품공급도 재개됐다. 경기도를 비롯한 각 지방자치단체는 한마음으로 쌍용차 살리기에 동참하고 있고, 평택시는 쌍용차가 회생될 때까지 판매지원 투어를 계속 벌이고 있다. 노조도 판매지원단에 참여해 법정관리신청 이후 급감하는 판매율 신장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송명호 시장은 쌍용차의 판매지원 투어에 그치지 않고 쌍용차 공장 주변에 대해 '오토밸리 타운' 개발계획구상을 밝히는 등 쌍용차 살리기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쌍용차에 대한 미래구상까지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바람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제 쌍용차의 법정관리는 6~7일쯤 개시절차만 남은 것으로 보인다. 법정관리가 받아들여져 시작된다고 해서 무조건 회생의 길에 접어드는 것은 아니다. 우선 대주주인 중국 상하이차가 어떤 형태로든 대주주로서의 책임있는 자세를 보여줘야 한다. 아무리 대주주의 지원이 물건너간 상황이라고는 하지만 인수 당시 약속한 연구·개발투자는 물론 쌍용차 회생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지금의 사태를 야기한 책임을 일정 부분 져야 한다는 것이다. 온갖 부담을 한국정부에만 떠넘기고 합법적인 경영철수만을 시도한다면 지금까지의 비난을 피할 수 없다.

쌍용차 노사도 마찬가지다. 고통이 뒤따르겠지만 적극적인 자구노력 없이는 회생이 불투명해질 수 있다. 자구노력의 방법은 제시하지 않아도 다 아는 사실이다. 기업의 청산가치보다 생존가치를 높이는 노력이 있을 때 법정관리가 시작되더라도 주채권은행으로부터 운전자금과 기업회생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독자생존의 가능성을 보여주라는 것이다. 그래야만 소비자들로부터 쌍용차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는 것이다. 노사가 뼈를 깎는 새로운 각오로 '코란도 신화'를 재현해줬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