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치러진 경기도 교육감 선거에서 김상곤 후보가 당선됐다. 접전이 예상됐던 김진춘후보를 여유있게 누르고 경기도민의 선택을 받아 1년2개월동안 교육행정을 이끌게 됐다. 이번 선거는 과도기적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정책의 시도, 즉 변화보다는 혼란을 최소화하는 안정적 교육행정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짧은 기간으로 정책개발이 오히려 혼선을 가져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선거에서 내세웠던 공약은 평소 갖고 있던 소신으로 남기고 다음 교육감이 수월적 선진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이번 교육감선거는 유권자의 관심을 끄는데 실패했다. 평일 치러진 관계도 있겠지만, 역대 최저인 12.3%의 투표율은 우리의 교육현실과 무관치 않다 하겠다. 앞서 치른 대전 15.3%, 서울 15.4%, 충남 17.2%, 전북 21%의 투표율에 비춰 봐도 실망스러운 수준이다. 선관위의 적극적인 캠페인에도 불구하고 주민이 처음으로 직접 선출하는 교육감선거로 인지도가 낮았고 각 후보가 정당 대표가 아니며, 교육감의 남은 임기가 얼마 되지 않는다는 점도 작용했을 것이다. 선거운동 과정에서 상호 비방전, '보수 대 진보'의 대리전으로 변질된 점도 유권자들의 무관심을 부채질했다.

경기지역 교육을 책임지도록 하기에는 너무도 적은 숫자다. 이렇게 낮은 투표율로 당선된 당선자가 교육수장으로서의 대표성이 있는지, 수백억원을 들여 직선제를 실시하는 것이 과연 의미가 있는지 논의해 봐야 한다. 직선제를 계속한다면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공무원뿐 아니라 일반 직장인들의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는 등 편의제공 방안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행정의 신뢰도를 높이고 홍보를 강화하는 등 특단의 대책도 강구해야 한다.

교육감 선거가 끝났다. 이제부턴 미래를 봐야 한다. 앞으로의 교육정책은 선거과정에서 노출된 이념대립에서 탈피하고 공교육 정상화의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학생들의 입시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사교육비의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안도 나와야 한다. 정책을 결정할 때 우선순위가 학생이어야 하며, 학생을 위한 진정한 정책이 무엇인지 숙고해야 한다. 이것이 임기 1년2개월 동안 해야 할 일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