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신도시 에너지 공급계획에 있어 정확한 전기 수요량 예측과 함께 태양광 및 지열, 폐기물 재처리 등 신재생 에너지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푸른경기21실천협의회가 주최한 '광교신도시 에너지 기본계획 평가기획회의'에서 발제에 나선 부천대학 박재희 겸임교수는 "광교신도시의 신재생에너지 활용 계획을 보면 전체 공공청사 면적 25만3천95㎡ 에 200㎾, 공동주택 아파트 관리동 34개소에 각 3㎾ 용량의 태양광 시설 등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는 신재생 에너지 도입 계획이 전무하다"며 "건설단계에서 공동주택의 신재생에너지 적극 도입이 필요하고 학교, 도서관 등 각종 공공시설 옥상에 지열히트펌프와 태양열 흡수식 냉온수기 등 신재생에너지 설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 교수는 "최근 기후변화 영향에 따라 난방수요는 감소하고 냉방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에너지 계획에 이같은 문제가 충분히 반영돼야 한다"며 "그러나 현재 수립된 계획에는 주택용지와 종교용지 등에 대한 냉방수요가 전체 에너지 수요량에서 빠져 있어 보완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에너지 활용에 대해서도 "광교지구에서 발생할 가연성폐기물 (7만9천851t/일)을 에너지로 전환할 경우 19만1천642Mcal/일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며 "효율 70%를 적용하면 도시가스 1만5천690N㎥/일에 해당하는 13만4천150Mcal/일의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어 주택난방용 가스요금으로 환산하면 연간 43억원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오는 2015년 기준으로 연간 전기사용량을 132만9천429㎿H(생산전력×시간)로 추산하고 있다"며 "이 수치는 고시기준상 단위 면적 (60㎡ 공동주택) 초과 기준이 ㎡당 49.0인데 비해 광교신도시 계획에는 53.0으로 적용해 총수요량이 실제보다 부풀려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박 교수는 이와함께 "에너지 이용과 사후관리 계획은 대부분 관리사무소와 건축주의 자발적 책임에만 국한하고 있다"며 "에너지 이용설비, 저감시설, 신재생에너지시설에서의 유지관리와 비용 부담에 대한 구체적인 책임 소재를 명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