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의 비정규직법 개정협상이 진통을 겪으며 고용불안사태가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1일 경인지방노동청수원지청 앞에 '우리는 일하고 싶습니다'라는 문구가 적힌 피켓들이 놓여 있다. /전두현기자 dhjeon@kyeongin.com
비정규직법 개정이 무산된 1일 경기지역 중소 사업장에서는 해고될 것을 우려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한숨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노동부와 경기도 등 행정당국은 해고가 예상되는 비정규직 숫자조차 파악을 못해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오산시의 A금속 제조업체는 직원 130여명 중 비정규직 근로자 5명에 대해 지난달 해고를 통보했다. 업체측은 "일손이 달리는데다 이들이 업무에 숙련돼 있어 계속 고용하고 싶지만 회사 여건상 정규직 전환은 어렵다"고 말했다.

도내 A대학은 정규직 전환 시점을 앞두고 이미 지난해말과 올해초 140여명의 비정규직 근로자를 해고했다. 현재 노조측은 학교측과 해고 철회를 놓고 투쟁중이지만 해고된 직원 중 투쟁에 참여하는 직원은 단 19명으로 나머지 해고 근로자들의 행방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

기아자동차 사내 하청업체의 노조 관계자는 "그동안 법개정 추이를 지켜봐오던 130여명의 비정규직들은 계약해지를 우려해 사측의 눈치만 보고 있는게 안쓰럽다"고 전했다.

S시 산하기관에서 계약직으로 근무중인 B씨는 "이미 지난 연말 같이 일하던 계약직 직원들이 상당수 잘려 나갔다"면서 "다행히(나는)지금까지 남아 있지만 2년이 다돼가는 올 연말이 걱정"이라고 불안해했다.

이런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불안에도 불구, 노동부와 경기도 등 행정기관은 해고가 예상되는 비정규직 숫자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올 3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따르면 도내 비정규직 근로자는 서울시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122만4천명이지만 도는 이 가운데 몇명이나 해고가 예상되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노동부에서는 한때 70만명정도 되고, 연말까지는 100만명 정도라고 했지만 야당과 노동계에서는 이보다 적은 30만∼40만명 수준으로 본다"며 "노동부도 추정치일 뿐 정확한 해고 규모를 발표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권한을 가진 노동부 근로감독관들도 못하는 것을 권한과 인력이 부족한 지자체가 숫자를 파악하기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도는 다만 해고된 비정규직을 희망근로와 공공근로로 흡수하고, 시·군취업정보센터와 노동부 고용지원센터를 통해 직업을 알선하는 방향으로 대안을 모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