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 중 기초단체장이 공식 입장을 처음으로 밝힌 사례로 기록될 남양주·구리시간의 자율통합 논의가 행정안전부가 통합대상으로 거론한 의정부권 등 전국 20여곳의 지자체간 자율통합을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남양주·구리시 각 지자체간 자율통합으로 인한 정부의 인센티브는 물론 경제생활권 단일화로 인한 실익분석등이 앞다퉈 거론되는 등 통합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 이석우 남양주시장은 8일 "구리시와 자율 통합을 추진해 2025년까지 인구 120만명의 광역도시를 건설할 계획"이라며 "두 도시가 통합되면 왕숙천을 중심으로 한 3천300만㎡ 규모의 녹색도시가 건설될 것"이라고 말했다(사진은 왕숙천을 중심으로한 구리시와 남양주시 전경). /남양주시 제공

■'남양주·구리 자율통합 왜 시급한가'=교통·통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양 지자체가 실질적인 단일 경제·생활권인 만큼 남양주·구리시의 통합은 일찍부터 심심찮게 거론돼 왔다.

왕숙천을 경계로 한 양 지자체는 구시대의 지리적·지형적 여건에 따른 것이어서 현실적으론 지자체간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라는 지적이 쇄도했기 때문이다.

남양주시와 구리시는 조선시대부터 단일 생활권이었다.

하지만 1986년 남양주군 구리읍이 구리시로 승격되면서 북한강 지류인 왕숙천을 경계로 분리돼 현재의 남양주·구리시로 나뉘어 오고 있다. 특히 남양주는 남양주군 시절인 지난 1989년 미금시로 분리됐다가 1995년 도·농통합시로 다시 합쳐지기도 한 전례가 있다.

이어 남양주는 최근 들어 각종 택지개발로 지속적으로 성장을 거듭, 현재 인구 51만명의 도시로 발전했다.

하지만 왕숙천을 경계로 별도의 행정구역으로 나뉜 남양주와 구리는 반쪽짜리 행정으로 지자체 발전을 꾀하는 데 한계에 부닥쳐 왔다.

남양주가 인구 19만명인 구리시와 자율통합할 경우 왕숙천을 중심으로 3천300만㎡ 규모의 대도시가 건설될 것으로 보인다.

자율통합으로 인한 지역 공직사회와 정치권, 기업인 등의 이해관계도 크게 엇갈릴 가능성이 높아 실익계산 여부를 떠나 추진과정에서 넘어야할 산도 만만치 않다.

이 같은 문제점을 일찍이 간파한 이석우 남양주시장은 8일 "통합시가 되면 경기동북부 거점 중심도시가 돼 조선왕릉 등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쉬는 명품도시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율통합, 도내로 확산되나'=평택시와 아산시·당진군을 환황해권 및 아산권만 경제특구로 묶는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경인일보와 평택포럼 등은 지난 6월 18일 공동으로 '평택광역시를 위한 행정구역 개편 방안' 토론회에서 평택시와 인접 시·군과의 바람직한 통합 모형을 모색하고 이에 따른 지역발전 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또 오는 9월께는 평택과 인접한 당진군의 시민단체들과 공조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안양·군포·의왕지역 시민단체들도 최근 안양시청 등 3개 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3개 시 통합에 관한 의견을 묻는 등 자율통합 논의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남양주·구리시간 첫 자율통합을 신호탄으로 자율통합 논의가 수원권·안양권·의정부권 등 통합 대상 지자체간 논의확산의 기촉제로 작용, 내년 지방선거 이전에 자율통합될 지자체 수가 당초 예상보다 늘어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