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도처에서 바람을 동반한 물폭탄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도로와 주택은 물론이고 축사와 농경지 등에까지 융단폭격을 퍼부음으로써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강수량도 기록적인데다 언제 어느 곳이 피해를 입을지 전혀 가늠되지 않는다. 서울의 경우 불과 보름동안의 강수량이 60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으며 부산과 전남 장흥, 광주 등 일부지역에서는 역대최고치를 경신했다. 직접원인은 장마전선이 한반도 상공에서 저기압과 결합해서 수시로 옮겨 다니는 탓이나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를 주범으로 지목하고 있다.

올여름은 예년에 비해 훨씬 무더울 뿐만 아니라 스콜성 소나기의 기습도 잦을 전망이어서 걱정이 크다. 2005년 미국을 낭패하게 했던 카트리나와 같은 슈퍼태풍의 내습가능성마저 배제할 수 없어 상습수해지역 주민들의 고민이 이만저만 아니다. 32만 파주 시민들은 지난 시절 임진각유역 대홍수로 혼쭐났던 악몽을 떠올리며 벌써부터 마음을 졸이고 있다. 정부는 2006년에 한탄강 홍수조절댐 건설을 확정하고도 강원도 철원과 연천·포천주민들의 지역이기주의에 발목이 잡혀 아직까지 첫 삽질도 못한 때문이다.

방재시설이 전무한 전국 436곳의 자연재해위험지구 주민들의 처지도 대동소이하다. 지난해 엄청난 피해를 보았던 수해복구현장 56곳 대부분도 복구공사가 지체되거나 방치돼 있다. 가장 큰 원인은 예산부족이나 건설노조파업에 따른 수방공사의 지연도 한 이유다. 공사 진척정도가 낮은 곳도 수해로 또다시 유실될 개연성이 높아 혈세낭비의 소지가 크다. 백두대간 등 전국의 산야가 골재채취 및 골프장·펜션·전원주택 건설로 대책없이 훼손된 것은 설상가상이다. 수해가 발생할 때마다 인재(人災)성 시비가 끊이지 않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또한 이런 지경이니 매년 수방예산을 늘려도 항상 부족했던 것이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은 이미 진행 중이어서 자연재해대책의 중요성도 증폭되고 있다. 모래성 쌓듯 하는 사후약방문식의 수방대책은 효용을 상실했다. 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재난지역 선포 운운하며 야단법석을 떠는 구태(舊態)도 목불인견이다. 방재대책이 정치논리에 의해 좌우되는 일도 없어야 한다. 최선의 대안은 예방차원의 선제적 관리이다.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올여름 수방대책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