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캠퍼스 공사비의 적정성을 두고 지난 2년간 우여곡절이 많았다. '초호화 캠퍼스'를 짓는다는 비난이 많았고, '동북아 중심대학'으로 발돋움하는 교육인프라를 완성하는 청사진이라 하는 이들도 있었다. 인천대는 국립대학 특수법인으로 전환하는 일에 이어 이제는 인천전문대와의 통합, 의대 신설 등의 현안도 풀어야 한다.

이들 거대 프로젝트 앞에서 꼭 필요한 논의가 깊이있게 이뤄진 적은 없었다. '인천 시민의 대학'으로 발돋움해 경쟁력을 높이려는 노력을 제대로 보이지 않았다는 얘기다.

그 대표적인 사례를 인천대와 인천전문대 교수들이 지난 24일 작성한 통합합의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두 대학 교수들은 '정년 보장을 받은 교수들에 대해서는 별도 재심사없이 인정한다'고 합의했다. 동시에 '교수 정년 등에 의한 자연감소 이외에 정원 및 현원 감축은 없다'고 합의서에 못박았다.

인천시가 작년 5월 낸 자료에 따르면 두 대학의 정년보장 교수 비율은 인천대 155명(60.1%), 인천전문대 135명(87.1%)에 이른다. 서울시립대학교의 정년보장 교수 비율이 전체 교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49.5%인 점을 감안하면 인천의 두 시립대학은 비정상적인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도 정년보장 교수들에게 '개혁의 메스'를 들이대지 않겠다는 것이다.

인천대 교수들은 송도 캠퍼스 공사 과정에서 공사비 인상을 주도했다는 비난을 사기도 했다. 공사비 인상의 단초를 제공한 '설계변경'도 교수들의 요구로 시작된 것이었다. 280억원 이상이 연구실 실험기자재 구입비지만 이 비용에는 소파 교체비 등 실험과 상관없는 비용이 다수 포함돼 있다고 한다. 교수회관에는 고급 레스토랑이 새로 생긴다. 교수연구실에 세면대를 설치해 달라는 요구도 있었다. 설계에 없는 세면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수십억원을 들여 상수도 시설을 다시 뜯어고쳐야 한다. 결국 이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도화 캠퍼스에는 없는 지하공동구(3만5천800㎡·주차장), 고급 냉·난방시설을 추가로 설치하면서 학교 운영비가 지금보다 2~3배 이상 뛸 것으로 시 관계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건물연면적이 11만㎡에서 21만㎡로 두 배 가량 늘었다. 인천대측은 운영비 인상분을 인천시나 정부가 보조해 줄 것으로 막연한 기대감을 갖고 있다.

물론 송도캠퍼스 시대의 앞날이 어둡기만 한 건 아니다. 송도국제도시의 인프라를 활용해 국제적 수준의 산·학 협력을 이룰 수 있다. 또 인근에 들어서는 국내외 대학과의 교류를 통해, 인천대가 세계적 수준의 대학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인천대 관계자는 "송도 캠퍼스는 국제화, 산·학협력 등을 추구하는 신개념 캠퍼스다"며 "인천대가 경제자유구역의 발전을 선도할 수도 있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인천대는 1979년 공과대학으로 설립인가를 받으며 도화동 시대의 문을 열었다. 1988년에 종합대학으로 승격했고, 1994년에는 인천전문대와 함께 시립대학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