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 신청과 정리해고, 공장점거 파업, 노사 마라톤협상 결렬 등으로 이어진 쌍용자동차 사태가 점거 파업 77일째인 6일 오후 노사간 극적인 협상타결로 일단락 됐다.

   쌍용차 노조는 지난 5월 21일 오전 평택공장에서 긴급 조합원 결의대회를 열고 정리해고 철회를 요구하며 같은 날 오후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다.

   노조는 이미 4월 8일 회사 측이 직원 2천646명을 구조조정하는 내용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발표한 직후인 4월 13일과 14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통해 파업을 예고한 상태였다.

   쌍용차 사태는 노조가 평택공장 정문을 봉쇄하고 공장을 점거하면서 심각한 양상으로 빠져들었다.

   사측은 5월 31일 노조원들을 퇴거시키기 위해 평택공장에 대해 직장폐쇄 조치를 한 데 이어 6월 8일에는 정리해고 대상자 976명에 대해 해고를 단행했다.

   6월 26일 노조가 "정리해고자 976명 가운데 2012년까지 200명 범위에서 무급휴직 및 우선 재고용하고 450여명에게 희망퇴직 기회를 주겠다"며 제안한 회사측의 구조조정 수정안을 거부한 뒤 사측 직원들이 공장에 진입하면서 쇠파이프와 새총에서 발사한 볼트 등이 난무하는 '극한 갈등'이 본격화 됐다.

   또 노조원들이 도장작업용 시너와 페인트 등 다량의 인화물질이 보관돼 '화약고'로 불리는 도장공장으로 들어가 '옥쇄파업'에 돌입하면서 사태는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날부터 노조원들은 새총으로 볼트와 너트를 쏘기 시작하면서 쌍용차 공장은 '무기제조공장'이자 '전쟁터'로 변했다.

   경찰은 6월 30일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쌍용차사태 특별수사본부'를 설치했다.

   7월 들어 공장 출입 및 출입방해 금지, 업무방해금지 등에 관한 가처분신청 인용 결정에도 노조원들이 퇴거하지 않자 법원은 2차례 강제집행을 시도했으나 노조가 이에 응하지 않으면서 공권력 투입론이 부상했다.

   지난달 6일 경찰은 압수수색영장(집행시한 8월 3일)을 발부받아 공권력 투입의 법적 근거를 마련했고 11일에는 노조가 점거하고 있던 공장 출입문 4곳을 확보하면서 노조를 압박했다. 회사 측도 공장 내 물과 음식물 반입을 금지, 인권침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같은달 20일에는 경기경찰청장이 노조원 강제해산 방침을 발표하고 임직원 1천500여명도 본관과 연구동으로 출근을 강행하면서 노조에 대한 압박수위를 더욱 높였다.

   노조도 쇠파이프와 새총 같은 '기본장비' 외에 다연발 사제총, 이동식 볼트총, 표창 등을 동원하며 대응 강도를 높여 충돌과정에서 부상자가 속출했다.

   이에 맞서 경찰은 지난해 7월 촛불집회 이후 사용하지 않던 최루액을 다시 살포했고 전기충격장치 '테이저건'까지 동원했다.

   29일에는 쌍용차 협력업체 모임인 협동회가 조기 파산 후 매각해 새 법인을 설립하는 조건부 파산 신청하겠다는 입장을 결정했고, 회사 측도 노조원들에 대해 추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하면서 노조를 압박했다.

   종착역을 알 수 없는 경찰-노조 대치가 계속되면서 쌍용차 사태가 결국 조기 파산이라는 파국으로 접어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던 같은 달 30일 오후 9시10분 노사 양측은 대화를 재개했다.

   그러나 지난 2일 오전 사측은 "노조가 총고용 보장 만을 계속 요구하고 있다"며 나흘간 밤을 새워가며 진행해온 '마라톤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경찰은 4일과 5일 특공대까지 동원, 2차례의 진압작전을 진행해 도장2공장을 제외한 나머지 건물들을 모두 장악했으며, 이 과정에서 100명이 넘는 부상자가 발생했다.

   결국 노조측은 조여오는 압박감 등을 견디지 못하고 '마라톤협상' 중단 3일만인 6일 정오께 사측과 협상을 재개한 뒤 사측의 구조조정안을 받아들였고 노조원들도 농성을 풀고 자진해 도장2공장 건물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