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김환기·이호승기자]수원·화성·오산, 성남·하남·광주, 안양·군포·의왕 등 경기도 3개 행정구역이 자율통합 대상 지역에 선정됐다.

전국적으로는 6개 지역, 16개 시·군이다. 그러나 자율통합에 반대하는 일부 지자체나 의회 등에서 이번 여론조사의 신뢰성과 대상 선정 기준의 공정성, 절차상 문제 등을 놓고 반발하는데다 지방의회 의결 과정에서도 논란이 예상돼 실제 통합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따를 전망이다.

행정안전부 이달곤 장관은 10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가진 '행정구역 여론조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수도권 3개 지역과 청주·청원, 창원·마산·진해, 진주·산청 등 전국 6개 지역, 16개 시·군 주민들의 자율통합 찬성률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남양주·구리, 의정부·양주·동두천, 안산·시흥, 여주·이천 등 경기도내 4개 지역을 비롯한 전국 12개 지역의 경우 반대율이 높아 통합 추진이 사실상 어려워졌다.

대상지역은 해당 지방의회에서 통합을 의결할 경우 통합이 자동적으로 이뤄지나, 지방의회가 찬성하지 않을 경우 주민투표를 거쳐 통합 여부가 결정된다. 행안부는 우선 이달 중에 지방의회 의견을 수렴한뒤 12월 지방의회의 의견을 확정하고 관련법률개정작업을 벌일 방침이다.

통합 자치단체는 내년 6월 지방선거를 거쳐 7월 출범한다.

행안부는 도내 3개 지역 등 인구 100만명 이상의 통합시에는 부시장 1인 증원과 대폭적인 행정권한 이양 등 행·재정적인 특례를 부여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통합지자체가 결정되는대로 총리 소속의 협의·지원기구를 설치한다.

행안부는 지난달 24일부터 지난 6일까지 자율통합 건의서를 낸 18개 지역, 46개 시·군에서 지방자치단체별로 주민 500~1천명을 대상으로 통합 찬반과 관련한 여론조사를 진행했으며, 여론조사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주관으로 한국갤럽과 한국리서치, 미디어리서치, 코리아리서치 등 4개 기관이 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이 장관은 "여론조사는 본격적 통합 절차에 들어가기 앞서 지역주민의 전반적인 통합의사를 사전에 확인한 것"이라며 "향후 지역 국회의원, 도지사 등 자치단체장에게 여론조사 결과를 설명하는 등 폭넓은 의견수렴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성남의 경우 무응답자를 빼야 찬성률이 50%를 넘고 안양권은 과천이 빠지는 이상한 형태로 통합이 추진되게 돼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도내에서는 처음으로 통합을 추진했던 남양주와 구리가 대상에서 제외되고 당초 성남 등 대도시는 통합의 대상으로 검토하지 않고 있다던 행안부의 생각과 다른 결과가 나옴으로써 당초 취지가 퇴색한 것 아니냐는 부정적인 시각도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