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북한의 움직임이 도를 넘고 있다. 27일 오전 9시5분에 이어 오후 3시께 해안포 여러 발을 백령도 인근 북방한계선(NLL) 해상으로 발사했다. 물론 우리 군도 대응사격 등 신속하게 대처, 피해는 없었지만 그 의도가 불순하다. 25일 백령도와 대청도 인근 해상 2곳에 항행금지구역을 선포한 후 이틀 만의 일로, 연장선상에서 위협 사격이라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정밀분석 후 대처방안을 찾아야겠지만, 한편에서는 손을 내밀고 다른 쪽으로 긴장을 조성하는 양동작전에 휘둘려서는 안될 성싶다.

분단 이후 서해상에서의 큰 교전은 1999년 6월15일 제1차 이후 2번 더 있었다. 큰 상처를 남긴 2002년 6월29일 2차 연평해전에 이어 2009년 11월10일 제3차 교전이 그것이다. 이번의 경우 양측이 허공에 사격, 인명·재산 피해는 없었다고는 하나, 북한군 총참모부가 "조선 서해 전연해상에는 오직 우리가 인정하는 해상군사분계선만이 있을 뿐이다"는 등 북방한계선을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재차 밝힌 데서 위협 사격은 예견된 도발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에도 연례훈련을 가장한 도발을 멈추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해 분위기가 고조되면 자칫 충돌로까지 이어질 우려가 크다.

북한이 NLL수역에 항행금지구역을 선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간은 동·서해상 북한 수역에 국한해 선포했었다. 이에 앞서 장산곶과 옹진반도, 강령반도의 해안가를 비롯 서해 기린도, 월래도, 대수압도 등에 해안포를 집중 배치했다고 한다. 서해상 발포는 항행금지구역을 우리측에 주지시키기 위한 엄포용으로 치부하더라도, 백령도와 연평도를 사정거리에 두고 있다는 것은 예사롭지가 않다. 인도적 교류를 내세우면서 무력도발을 서슴지 않는 북한이기 때문이다.

우리군은 큰 피해를 당한 후 '경고방송→시위기동→차단기동→경고사격→격파사격' 5단계이던 교전규칙을 '경고방송→경고사격→격파사격'으로 규칙을 대폭 단순화했다. 즉각 대처를 위해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북한의 도발을 멈추게 하기에는 부족하다. 도발은 파멸의 길이고, 평화와 소통만이 살길이라는 인식을 견고히 할 수 있는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 줏대를 확실하게 세워 경거망동을 못하도록 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