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 종목의 경우 선수층이 얇은데다 예산이 턱없이 부족, 이런 현상은 더욱 심각하다.
지난해 12월에 열린 전국장애인동계체전 도 대표 선발전은 이같은 장애인 체육의 단면을 잘 보여준다.
쇼트트랙 종목의 경우 바퀴수를 알리는 알림판이나 종 등은 필수지만 전혀 구비돼 있지 않아 현장에서 A4 용지로 대신하는 촌극이 벌어졌다.
게다가 9명의 심판 가운데 심판 자격증은 고사하고 쇼트트랙 선수 출신도 고작 1~2명에 불과했다는 게 참가자들의 전언이다.
기록이나 등위에 결정적으로 작용하는 코스 선정 역시 별다른 규정없이 입장순서대로 정해 출발하는 방식으로 운영됐다. 자체 선발 규정이 있긴 했지만 구체적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매번 대회가 열리기 불과 며칠전에 선수선발 규정이나 방식이 정해지는가 하면 이마저도 각 지역별로 달라 참가 선수나 학부모, 감독 등이 혼선을 빚고 있다. 심지어 경기전 감독간 합의만 이뤄지면 현장에서 세부종목이 변경되기도 한다.
다른 종목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스키의 경우 선수들의 공식기록이 없어도 전년 기록이나 캠프에서의 기록만으로도 대표 선수 선발이 가능하다. 상하위간 수준 차이가 커 공식 대회가 아니더라도 관행적으로 기록을 인정해 주는 것.
컬링은 장소 확보가 어려워 일반인들이 사용하지 않는 새벽에 경기를 치르는 진풍경을 연출하기도 했다. 빙상 종목도 빙질이 나빠진다며 장애인에게는 대관조차 해주지 않고 있다.
특히 가장 대중화된 빙상의 경우 장애인체육회의 가맹단체조차 가입되어 있지 않다. 당연히 선수 선발을 위한 별도의 규칙도 없다. 대한장애인체육회는 각 지역별로 열리는 선발전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시도별 선발전은 정식 대회라기 보다는 대회에 참가할 대표선수를 뽑는 선발전이라는 이유에서다.
이 때문에 시·도 장애인체육회가 제량에 따라 말그대로 '알아서'(?)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