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력 향상 종합대책을 총괄한 이재훈 시교육청 교육정책과장은 프로젝트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관계 기관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시교육청이 사업 주체로 전면에 나서겠지만 지자체 등 각 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측면 도움이 있을 예정"이라면서 "행·재정적 협조가 이뤄지는 추진위원회 구성이 곧 결실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일례로 기숙형 고교 설치때 해당 지자체가 부지를 제공하고 교육 예산으로 건물을 짓는 방식이다. 시는 부지의 용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적극 돕는다.
이 과장은 "사업이 장기적으로 추진되는 만큼 분기별, 항목별로 추진 실적을 점검하겠다"며 "부진하거나 민원이 제기되는 분야는 지속적으로 의견 수렴 등 보완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1~2년 이내 가시적 효과들이 차츰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