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의 시작은 비리전력자 공천이다. 한나라당은 최근 비리전력자 공천과 관련한 당규를 슬그머니 또한 느슨하게 고쳤다. 금고 이상 범죄를 저질렀다고 하더라도 사면복권된 사람은 공천을 줄 수 있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특정 인사를 겨냥한 조치는 아니라는 해명이지만 이같은 조치로 사면만 받으면 범법자들도 지방선거에 공천을 받을 수 있는 특혜를 주게 됐다. 민주당 역시 이같은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성추행 판결을 받은 적이 있는 우근민 전 제주지사를 공천을 목적으로 복당 허용 조치를 내렸다. 윤리적·도덕적 결함이 있더라도 승리의 방정식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오점도 용서하겠다는 취지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쯤에서 여야가 당초 주장한 '클린공천'의 의미를 다시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정치권은 올해초 공심위 구성 작업에 돌입하면서 '클린정치, 클린공천'을 실현하겠다고 공언했다. 이유인즉슨,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의 부패와 비리로 인한 국민들의 지방정치 불신을 쇄신시키겠다는 의도에서다.
지방재정을 파탄내고, 국민의 믿음을 저버린 사람은 예선과정인 공천에서부터 철저히 배제해 국민앞에 한 점 부끄러움 없는 후보를 내세우겠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같은 공천과 관련한 각 정당의 공약도 승리와 자기사람 밀어주기에만 급급한 정치 현실에서는 쉽게 잊혀지고 있어, 국민들을 또다시 분노하게 만든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경기도당은 공심위 구성 등을 발표하면서 '깨끗하고, 투명한 공천'을 통해 국민과 도민이 원하는 공천을 이뤄내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러한 약속이 정치적 외압이나 특정인을 옹호하기 위해 현실과 타협된다면 도민들의 심판을 받게 될 것임을 각 정당들은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