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음식물 먹는 곳 따로 치우는 곳 따로 현상이 수도권에서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놓고 잘잘못을 따지자는 것이 아니다. 서로 돕고 사는 것은 인지상정이지만, 도가 지나치면 화가 되듯이 과정이 정당하지 못하면 취지가 좋다 해도 그로 인한 부작용은 사안에 따라 커질 수 있다. 더욱이 음식물 쓰레기는 예민한 사안이고, 이번의 경우 처리과정에서 폐수와 악취 등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정황이 포착되고 있어 대책을 요구하는 여론이 비등하다.

지난 한해 경기도내 음식물 처리시설에 반입된 음식물류 폐기물은 하루평균 3천53t에 달한다고 한다. 이중 서울과 인천에서 들어온 폐기물이 60%가 넘는 1천843t이다. 서울과 인천이 배출되는 음식물류 폐기물 가운데 소량만 자체 처리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나머지는 도내 소재한 음식물 민간처리 대행업자와 개별 계약을 맺어 음식물류를 폐기하고 있는 것이다. 화성은 서울과 인천으로부터 376t과 13t 등 도내 지자체 가운데 가장 많은 하루 평균 389t 정도를 처리하고 있다. 도내에서 화성시로 유입되는 166t 보다도 무려 2.3배 이상 많은 양이다.

연천도 전체 반입량 316t중 서울과 인천에서 들어와 처리하는 폐기물이 254t으로 80%를 넘겼으며, 용인은 전체 반입량의 64.6%인 219t이 서울에서 들어오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도내 반입도 탐탁지 않지만 가장 우려되는 것은 처리과정이다. 업체간 과당 경쟁으로 계약금액이 낮게 형성되면서 폐수와 악취 등 2차 환경오염물질의 부적정한 처리로 인한 환경오염이 부정적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관련 부서에서는 각종 행정민원을 들어 단속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고, 악취의 경우 측정 항목에 빠져 있어 적절한 대처를 못하고 있다.

환경도 살리고 인간의 흔적인 쓰레기도 적절히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리 감독부서의 철저한 업무 수행과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 전담반의 인원을 정상화해야 하고, 악취 방지시설과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정하는 등 적극 대처해야 한다. 다른 지자체에서 유입되는 폐기물에 대해 침수물과 악취 처리비용을 징수하는 방안도 고려 대상이다. 환경을 돈벌이의 대상으로 여겨서는 국가적 과제인 녹색성장은 한낱 구호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