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윤희 / 지역사회부(광주)
[경인일보=]"차라리 난개발이라도 됐으면 하는게 솔직한 심정이다. 그렇지않아도 각종 규제에 시달리는데 되지도 않는 도시계획에 묶여 신축은 물론 집 보수조차 제대로 못하고 있으니…." 광주시 송정동에 사는 주민 이모(54)씨는 답답한 심경을 토로했다. 이씨는 이 지역이 지난 2005년 7월 2종 지구단위계획지구로 지정될 때만 하더라도 "이젠 제대로 된 주거지역으로 변모해 살만한 곳이 되겠구나"하고 생각했다. 그러나 사업이 더뎌지며, 시간은 흐르고 그러는 동안 지가가 상승했다.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비용이 점점 커지면서 사업이 흐지부지되고, 그러는 사이 주민들은 지구지정에 따른 신축, 증·개축 등이 불가한 상황이 지속됐다. 오히려 재산권 행사에 억압만 당하고 있는 것이다.

교통망도 좋고 시청이 인근에 자리해 분명 지리적 여건은 좋지만, 현 시가로 매입해 지구사업을 하기엔 남는게 없는 장사가 되는 셈인 것이다. "대로변 토지가 800만~1천만원에 이르는 상황에 이를 매입해 주택사업을 하면 분양가가 모르긴 몰라도 분당지역 버금갈 것"이라며 "누가 들어오겠냐"고 인근 부동산 관계자들은 주장한다.

한 주민은 "시에서 마음대로 지구단위 계획을 기획해 결국 토지주만 피해를 보고 있는데 시공무원들은 누구 하나 나서 보호해 주는 곳 없다"고 하소연한다. 이에 보다못한 주민들이 지구단위 계획의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시에서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구에서 해제될 경우, 더 난개발을 조장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일부 주민들은 이와 관련 앞으로 지구단위계획사업이 구체화되면 시 정책에 강력히 반대할 것이라는 뜻을 밝히고 있다.

이와 관련 한 시민은 "선거때면 규제 완화와 체계적인 개발을 통한 발전은 단골메뉴"라며 "하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다 실패에 그친 셈"이라고 말한다.

광주시민들이 이번 지방선거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제 더이상은 무책임한 선거 공약에 속지 않겠다는 것이다. 광주지역의 도시계획과 관련해 공약을 내건 후보들은 이를 다시한번 가슴에 새기고 뛰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