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인력에 대한 보상체계 미흡과 자녀 교육환경 악화로 우리나라 고급두뇌
의 해외유출이 심각해지고 있어 지식기반경제의 기틀이 흔들리고 있다는 지
적이 제기됐다.

또 박사학위 취득자의 수도 이공계 기피와 박사학위 취득자의 고용불안 등
으로인해 4년전에 비해 3분 1이상 급감해 공급부족 현상마저 일어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소 신광철 연구위원은 2일 ’지식자원 유출현상과 시사점’이
라는 보고서를 통해 국제경제연구원(IMD)의 한국 두뇌유출지수가 2001년
4.11로 지난 97년 6.94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등 지식자원 유출현상이 심각
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고 밝혔다.

IMD 두뇌유출지수는 지수 값이 작을수록 지식유출현상이 크다는 것을 의미
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식자원의 유출이 심각해지고 있는 이유는 지
난 97년이후 해외이민중 취업이민의 비중이 대폭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수요가 많은 정보기술(IT)관련 고급기술인력이 포함돼 있는 취
업이민 비중은 97년 26.3%에서 2001년 52.4%로 2배 수준으로 늘어났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의 지식자원 공급부족도 심각한 상태로 지적됐다. 이공
계를 포함한 국내외 박사학위 취득자(한국학술진흥재단 집계)는 2001년 958
명으로 4년전인 97년의 1천578명에 비해 무려 39.3%(620명)나 급감했다.

박사학위 취득자는 97년 1천578명, 98년 1천452명, 99년 1천260명, 2000년
1천207명, 2001년 958명 등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IMD 고급기술인력 공급지수도 6.37로 일본 7.31, 미국 7.16에 비해
낮은 편이다. 선진국에 비해 고급기술자원의 유입은 극히 낮은 수준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외국유학생은 인구 1천명당 26.2명에 달하지만 외국인 학생은
1.0명에 불과하다. 반대로 미국은 인구 1천명당 외국인 학생은 32.4명이며
외국유학생은 2.0명이다.

신 연구위원은 “이같은 지식자원 공급 부족현상은 이공계 기피, 열악한 교
육환경과 박사학위 취득자의 고용불안이 그 원인”이라면서 “한국 유학생
중 30%이상이 현지에 체류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되는 등 고급인력에 대한
적절한 보상체계 마련과 함께 선진국과 같은 지식자원관리프로그램을 서둘
러 추진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