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미묘한 시점에 '중국 역할론'을 언급한 함의는 뭘까.
 
   이 대통령이 7일 한나라당 지도부와 가진 조찬 회동에서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이른바 '중국 역할론'을 재확인한 것은 최근 한반도 주변 정세와 맞물려 적지 않은 속뜻이 있다는데 대체로 의견이 모아진다.
 
   특히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 직후 이런 입장을 밝힌 것은 '한중간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강조함으로써 북한과 중국을 우회적으로 압박하는 효과를 노린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 대통령은 이날 회동에서 "천안함 사건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조사 결과가 나오면 중국측에 통보하고 협의하게 될 것"이라면서 "그렇게 할 경우 중국 정부도 납득하고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31일 상하이(上海)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에게 한 약속을 재확인하면서 천안함 후속 대응과정에서 중국과 공조할 것임을 시사한 셈이다.
 
   특히 이 대통령은 한중 정상회담 사흘뒤 김 위원장이 전격적으로 방중하면서 일각에서 한중간 '외교 갈등'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 대해서도 '외교 뒷이야기'까지 소개하며 직접 해명에 나섰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중국이 우리와 만나기 전에 먼저 북한과 만나는 것이문제가 있다는 생각에서 북한 지도부의 방문을 며칠 미룬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전했다고 조해진 한나라당 대변인은 전했다.
 
   앞서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이 지난 6일 정례브리핑에서 "한중 양국관계에 갈등이나 균열은 없다."라고 밝힌 것을 구체적으로 풀어 설명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 중국 정부는 이날 오전 류우익 주중대사 등에게 김 위원장의 방중 결과와 배경 등을 브리핑한 것으로 확인돼 '한중 공조'와 대한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자신감이 충분한 근거가 있음을 증명한 셈이 됐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최근 우리 정부측에서 장신썬 주한 중국대사를 부른 것은 협의 차원"이라면서 "또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김 위원장 방중에 대해 '내정 문제'를 언급한 것도 너무 민감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천안함 침몰에 북한이 개입됐을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향후 유엔 안보리 제재 등을 대비해 중국과의 관계를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김 위원장과 후 주석간 정상회담에서 6자회담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알려진 것과 관련, 천안함 사태가 어느정도 마무리된 이후 북핵문제 해결 과정에서도 중국이 최대변수가 될 수 있음을 고려한 외교.안보적 사전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북중 정상회담 발표문에 '양측은 6자 회담 프로세스를 추진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라는 문구가 포함된 것과도 연결되는 대목이다.
 
   실제 청와대는 천안함 사태를 계기로 이 대통령의 취임 첫해 일단락했던 이른바'한반도 주변 4강(强)외교'에 재시동을 건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6자회담 참가국 가운데 미국, 일본과의 공조를 확고히 하는 한편 러시아와 중국과도 물밑접촉을 통해 긴밀한 협의를 진행함으로써 북한을 압박하는 효과를 거둔다는 것이다.
 
   한편 북한이 이날 언론을 통해 김 위원장의 방중을 공식 확인한 것과 관련, 청와대 한 참모는 "내용이 확실하게 파악되지 않은 상태에서 언급하기는 곤란하다."라면서 "그러나 지난 한중 정상회담에서 중국측에 우리 입장을 충분히 전달했고, 양국간 협의는 충분히 진행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