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6천억원을 투입해 건설된 10개 월드컵 경기장의 지방자치단체의 사후 활
용방안에 대해 정부가 실현 가능성 검토와 함께 필요한 지원방안 모색을 진
행중이다.

경기장 건설비용을 회수할 수는 없으나 적어도 경기장 시설을 유지.관리하
는데 필요한 돈을 수익사업을 통해 만들어 내려는 지자체의 활용방안이 타
당성이 결여돼 지자체의 추가 재정부담이 될 우려가 높은 까닭이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23일 “서울 등 10개 월드컵 개최도시들로부터 경기
장 사후활용계획을 건네받아 경기장 시설의 향후 예정 지출.수입내역과 계
획들의 실현 가능성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지자체와 논의해 활용방안을 보완하도록 하는 한편 필요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대부분의 경기장이 이벤트 행사를 위한 가변식 무대, 시민편익시설 설치
등 사후활용을 고려해 건축됐으나 재정적 측면에서 사후 독립적 유지.관리
는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던터라 벌써부터 추가적인 재정부담이 우려되고 있
다.

이 관계자는 “개최도시마다 사정이 다르지만 대부분 건설비 회수는 말할
것도 없고 유지.관리에 들어가는 자금을 마련할 뾰족한 수익사업을 찾는
게 쉽지 않다”고 말했다.

현재 각 개최도시들은 월드컵 경기장의 유지.관리에 매년 20억∼46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사후활용을 통한 나름의 수익확보 계획을 세워놓
고 있다.

그러나 서귀포 등 일부 경기장은 사후활용 방안이 전혀 없다시피하는 등 무
대책과 계획의 비현실성으로 월드컵 경기장이 ’골칫거리’가 될 공산이 크
다는 지적이다.

문화관광부도 프로축구단이 없는 서울.대구 등 5개 도시에 프로축구단을 만
들 것을 제안했으나 재계의 내부사정과 경제상황 등으로 아직 구체적인 답
변을 얻지 못하는 등 뾰족한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