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김명호기자]인천 서구 루원시티 사업 부지에 행정타운을 조성하는 방안이 본격 추진됨에 따라 루원시티 조성 사업의 방향도 크게 바뀔 것으로 보인다.

송영길 인천시장은 예산이 없어 지지부진하게 진행돼 왔던 루원시티 사업에 대해 수술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시장 후보시절부터 밝혀 왔다.

특히 서구에 신설하기로 했던 아시안게임 주경기장 건립 사업이 재검토돼 이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센 상황에서 루원시티 사업의 해법까지 찾지 못하게 되면 송 시장은 취임 초기부터 위기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에서 송 시장이 '행정타운 카드'를 꺼내 든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 행정타운 왜 루원시티인가

루원시티는 서구 가정오거리 주변 97만2천㎡를 개발해 아파트 1만1천여가구 등을 새로 짓는 인천 최대 도시재생사업이다.

시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지난 2006년부터 이 사업을 추진해 왔고 보상비로만 1조6천억여원이 투입됐다. 문제는 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LH의 자금난과 시의 부채다. 루원시티 사업의 핵심은 고속도로와 도시철도 등을 도심 지하에 넣는 '입체화 구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고속도로 지하화에만 3천600억여원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시의 빚이 10조원에 이르고 LH 또한 경기 침체에 따른 자금난으로 이 사업 자체를 재검토하겠다고 나선 실정이다.

LH는 시에 돈이 많이 들어가는 입체화 구간을 축소하고 용지 변경 등을 통해 사업성을 높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시는 뚜렷한 해결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인천시와 LH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다.

송 시장이 이런 루원시티 사업의 해결책으로 행정타운을 카드를 꺼내 들고 나온 것은 사업성과 서구 지역 주민들의 불만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키로 생각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 도화구역은 어떻게 되나

도화구역도 루원시티와 같은 처지다. 당초 인천시는 특수목적법인(SPC)을 만들어 이 사업을 진행시켜 왔다. 이 법인에는 도시개발공사와 SK건설컨소시엄 등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SK건설컨소시엄은 분양가 상한제 등으로 도화구역 개발에 대한 사업성이 불투명하다며 시에 대책 마련을 요구해 왔다. 이에 시는 도시개발공사 단독으로 사업을 진행시키기로 결정하고 현재 보상 절차 등을 진행중이다. 그러나 도시개발공사의 부채가 수조원이나 되는 상황에서 사업 자체가 불투명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시는 지난 4월 이런 사업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곳에 행정타운을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송 시장이 행정타운을 루원시티로 옮기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도화구역 사업은 다시 사업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찾아야 하게 됐다. 일단 송 시장이 이 곳에 교육청을 옮기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고 공약 등을 통해 복합 도서관 건립을 약속한 만큼 큰 틀에서의 해법은 나온 상태다. 도화구역에 '교육' 브랜드를 입히겠다는 것이다.

문제는 교육청 이전. 복합도서관 건립 등은 시장의 결정에 따라 이행될 수 있지만 교육청 이전은 해당 부처와 논의를 거쳐야 하고 시가 이전 비용 등도 내야 하는 만큼 문제 해결이 간단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