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평택지역이 들끓고 있다. 평택기지 이전과 관련, LH가 2단계 개발사업을 포기하면서 지역상권 안정을 기대했던 상인과 주민들의 불만이 폭발 직전에 있다고 한다. 쌍용차가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 매각이 급물살을 타고 평택기지개발이 가시화되면서 경제활성화에 한껏 부풀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기대와 지역발전에 대한 희망이 LH 2단계 개발사업 포기로 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조치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사라지게 될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이다.

평택미군기지 이전은 오는 2015~16년까지 2단계에 걸쳐 마무리될 예정으로 있다. 1단계는 사업비 3조4천억원이 투입되며 각종 시설이 들어설 건물 111개동이 건립된다. 사업비 1조2천억원을 쏟아붓는 2단계에는 건물 115동을 짓는 등 모두 9조8천억원이 소요된다. 주민들은 이같은 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될 것으로 믿고 있었다. 사실 이 곳에 정착해 농사를 지으며 살던 주민과 상권 확장 등 지역발전에 기대를 하고 있던 주민간 갈등이 첨예했었다. 갈라진 지역여론이 어렵게 봉합된 것은 미래와 국가안보라는 대의명분이었다.

LH의 사업 포기와 이를 대신할 정부기관의 부재는 이러한 지역주민의 충정을 우롱하는 행위일 뿐아니라 지역경제의 붕괴를 의미한다. 이로인해 수면하에서 잠자고 있던 갈등이 다시 터지게 되면 분열 등 지역이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다. 더욱이 감언이설로 온갖 약속을 해 놓고 사업이 여의치 않자 대책조차 마련하지 못하면 정부에 대한 신뢰도 더 이상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지역 주민들의 움직임에 모든 우려가 담겨 있다. 사업포기 운운하려면 아예 미군기지 전체를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한다고 격앙된 한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사태는 LH가 118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빚을 떠안고 출발하면서 예견됐다. 2단계 사업비를 선투자하는 것은 사실상 힘들다고 판단, 국방부에 대안 검토를 요구한 시점은 지난해 10월말이라고 한다. 더욱이 2단계사업의 경우 양해각서를 체결하지 않아 법적 책임도 묻지 못하게 됐다. 이러한 사정이 지역에 알려진 것은 최근이라고 한다. 쌍용차사태로 지역이 한바탕 요동친 것이 얼마 지나지 않았다. 평택시민의 인내심이 한계에 다다랐다고 봐야 한다. 정부는 지역발전을 담보한 발빠른 대책을 내놔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