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요즈음 인천시의 화두는 수도권매립지 문제다. 아니 경기도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전체의 문제이기도 하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오는 2016년 이후에는 사용을 끝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와 환경부 서울시 인천시간에는 수도권매립지의 사용종료 시한을 앞두고 매립기간 연장이냐, 중단이냐를 놓고 그 해법 찾기에 골몰하고 있는 것이다. 수도권매립지주민지원협의체는 정신적 신체적 고통과 재산적 손실을 감수하며 매립완료일을 손꼽아 기다려온 입장에서 2016년 이후 매립지를 주민들에게 돌려달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얼마 전 서울시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측이 사전동의 없이 '환경 명소 브랜드화를 위한 협정'을 맺고 매립지 이용을 일방적으로 영구화하려는 의도를 나타내자 서구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게다가 인천시가 그동안 요구했던 수도권매립지의 정부소유 일원화와 매립지 국가환수 특별법 제정 추진 등이 인천시민들의 입장에서는 영구매립의 빌미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를 낳고 있기도 하다. 그만큼 '인천 속의 서울 땅'이라 불리는 수도권매립지의 향후 처리문제는 간단치가 않다.
수도권매립지는 20여년 전 바다를 메워 만든 관심 밖의 땅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청라지구 검단신도시 인천국제공항을 사이에 두고 금싸라기 땅으로 변모해 가고 있으며 앞으로 경인아라뱃길과도 연결되는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갖고 있는 기회의 땅이 되고 있다. 인천 입장에서 수도권매립지로 인해 놓치는 경제적 기회비용은 어마어마하다. 그런 이 곳에 자리잡은 대규모 쓰레기매립장이 여하튼간 인천으로서는 도시발전을 저해하는 '눈엣가시'일 수도 있고 때로는 효자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아무리 서울시와 환경부 소유의 땅이라지만 인천시가 주도권을 갖고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야 그동안 고통받아온 인천시민의 입장을 최대한 대변해주고, 인천시민들의 그동안 불이익을 보상해주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기에 더욱 그렇다. 매립지의 활용방안도 서울시와 환경부의 눈치보는 일이 없이 신중하고도 주도면밀하게 마련하기 바란다. 그것이 인천시민과 수고권 주민들을 위한 일이다. 그렇지 않으면 언제 또다시 쓰레기 대란이라는 국가적 재앙을 겪을지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수도권매립지의 해법
입력 2010-08-29 23:04
수정 2019-11-13 14:5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0-08-30 1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진행중 2024-11-22 종료
법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 대한 1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벌금 100만원 이상의 유죄가 최종 확정된다면 국회의원직을 잃고 차기 대선에 출마할 수 없게 됩니다. 법원 판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