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콰도르의 퉁구라우아(Tungurahua) 화산(5,029m)의 화산활동 모습.(사진제공=연합뉴스)
   국내 지질학자들이 백두산의 폭발 가능성에 대해 경고하고 나섰다. 

   27일부터 30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대한지질학계 추계학술발표회에서 백두산의 분화 징후가 뚜렷하고 규모는 아이슬란드 화산폭발보다 10배 가량 클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산대 윤성효 교수와 이정현 교수는 "최근 백두산 천지 아래 2~5㎞ 지점에서 화산 지진이 증가하고 천지 주변의 일부 암벽에서 균열이 생겨 화산가스가 분출해 주변 일부 수목이 고사한 점 등 분화 징후가 뚜렷하다"고 백두산 폭발 가능성을 경고했다.

   또, 지난 2002년 8월부터 1년간 GPS로 백두산 천지 주변 지형을 관측한 결과 천지 북측의 수평ㆍ수직 이동속도가 약 40~50mm/년으로 변화한 점 등을 제시하며, 백두산이 활화산이라 언젠가는 분화할 것이 확실하며 그 규모는 지난 4월 아이슬란드 화산폭발보다 10배 가량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화산 폭발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고 정밀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