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경기도 시군에서 운영하는 직장운동경기부에 대한 체질개선의 목소리가 높다. 존립여부가 선출직인 자치단체장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비인기 종목의 경우 올림픽과 전국체전 등에서 상위권의 성적을 거둔 후 선수부족과 예산확보의 문제로 해체수순을 밟기도 한다. 최저근로기준에도 못 미치는 대우를 받는 선수들도 상당수다. 대다수 선수들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있다. 대부분이 중요성을 고지하지 않기 때문이다. 불이익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활력소가 돼야 할 체육이 소모품으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 시군 직장운동경기부는 한국체육의 근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시안게임만 봐도 경기도 선수중 절반 정도가 이들이다. 하지만 최근의 움직임을 보면 한국체육의 앞날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수원시와 용인·안산·의정부·평택·광명·이천·포천시 등 도내 12개 시·군의 경우 재정악화를 이유로 직장팀 일부 해체를 고민중이라고 한다. 내년 예산도 대폭 줄이고 있다. 용인은 200억원에서 70억~75억원, 성남시도 80억원에서 25억원으로 낮춰 편성하는 등 외형만 유지하는 식이다.

경기 직장체육이 왜소해지는 전면에 단체장이 있다. 선거공약 이행을 위한 예산확보 수단으로 체육관련 예산을 축소하거나 해체를 준비한다. 이는 인식부족에서 오는 큰 오류다. 지방자치가 실현해야 하는 복지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건강이며, 체육은 신체뿐 아니라 건강한 정신을 책임지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간과한 소치다. 이러다 보니 경기체육의 선수관리도 명성에 비해 엉터리며 초라할 수밖에 없다. 기본적 생활보장을 위한 규정인 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선수는 드물다. 중도 해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꼼수라는 인상이 짙다. 경악스러운 것은 최저근로기준마저 사치로 여길 만큼 선수의 권익이 무시되고 있는 현실이 오래된 관행이라는 것이다.

해법을 찾아야 한다. 스포츠 강국의 위상을 바로 세우는 것도 이유겠지만, 우리의 미래인 체육꿈나무에게 희망이 돼야 하기 때문이다. 체육은 예산만 까먹는 블랙홀이라는 잘못된 인식의 변화가 우선돼야 한다. 그래야만 체육활성화를 위해 주역이 돼야 하는 체육계, 지역민과 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제시된 각종 대안을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