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의 금융부채가 환란이후 186조원이 증가, 자산을 매각해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금융부문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총량지표중 가계부채가 가장 불안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은행이 19일 개최한 금융안정세미나에서 백웅기 상명대교수(경제통상학부)는 지난 6월말 현재 가계의 금융부채(은행·비은행 차입과 신용카드대출 포함) 규모는 397조5천억원으로 외환위기가 시작된 97년말(211조2천억원)에 비해 88.2%(186조3천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백 교수는 가계의 금융부채는 98년 27조6천억원이 감소했으나 99년 30조4천억원, 2000년 52조9천억원, 2001년 74조8천억원이 각각 증가하는 등 갈수록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때문에 개인의 금융부채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금융자산/금융부채 비율은 올해 2/4분기 현재 2.2배로 외환위기 이전인 지난 96년 수준(2.4배)보다 낮아져 금융자산보다 금융부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비율은 프랑스(5.5배), 미국(4.2배), 일본(3.7배)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으로 가계부문이 금융자산을 매각해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떨어지고 있다고 백 교수는 우려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