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들이 올해 스마트폰의 급속한 대중화로 대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나섰지만, 상당수가 국민 이용도 등의 측면에서 성과가 미미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수억원을 들인 앱도 일부를 제외하고는 이용 현황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효율적인 앱 제작 및 마케팅을 위한 거버넌스 수립과 다양한 OS 및 디바이스 시대에 맞는 모바일웹화, 민간 개발 독려를 위한 적극적인 공공정보 공개화 등을 추진하는 게 급선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8일 연합뉴스와 국회 문방위 소속 한나라당 안형환 의원이 정부 부처 및 광역자치단체를 상대로 올해 앱 개발 현황을 집계해 분석한 결과, 앱으로 제작된 정부기관 관련 서비스는 모두 56개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은 15부 18개청, 방송통신위와 금융위, 국민권익위, 공정거래위 등 대통령 및 국무총리 직속 위원회, 서울시 등 16개 시도이며, 조사 기간은 지난 11월10일까지이다.
이들 앱 가운데 다운로드 횟수 10만건 이상은 11개이고, 1만건 이상은 12개로 나타났다. 1천건 미만도 7개에 달했다.
가장 인기가 많은 앱은 통계청의 '수명계산기'로 다운로드 횟수가 33만1천건에 달한 반면, 서울시의 '서울종합방재센터'는 10건에 그쳤다.
다만 다운로드 횟수는 앱을 설치한 사용자의 실질적인 이용도를 측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데다 출시일이 각각 다른 만큼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앱은 출시 초반 주로 성패를 좌우하는 경향이어서 동일 조건으로 비교해도 분석 결과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조사 과정에서 정부기관은 대부분 개발사로부터 일일 데이터 측정 통계를 수집하지 않는데다, 수집할 수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기관의 총 앱 개발비용은 중앙행정기관이 15억6천690만원, 광역단체가 10억6천600만원에 달했다.
억대 개발비가 소요된 앱은 서울시의 'I-tour'(3억1천400만원), 전라남도의 'U남도여행길잡이'(3억원), 특허청의 '특허정보검색'(2억6천600만원), 행정안전부의 '민원24시'(2억원), 고용노동부의 '잡영'(2억1천600만원) 등이다. 이들 앱 가운데 일부는 다른 모바일웹 및 연관된 앱 개발 비용도 추가돼 있다.
제작이 간단한 앱은 1천만원 이하, 일반적인 앱은 1천만∼4천만원 정도의 예산이 들어갔다. 개발비가 많이 든 앱 중 일부는 아이폰용, 안드로이드용, 윈도 모바일용으로 모두 제작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일부 앱은 개발 난이도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개발비를 지불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도 제기된다.
개발비가 전혀 들어가지 않은 앱은 경찰청이 자체 제작한 '실종아동찾기 182센터'와 개발자 기부로 만들어진 소방방재청의 '응급상황 대처방법' 등이다.
사용자 평가 부문의 경우 30명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평가를 받은 아이폰용 앱 가운데 평점(★) 3.5 이상인 앱은 보건복지부의 '숙녀다이어리', 중소기업청의 '창업만물사전' 및 '기업마을' 등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운영체제(OS)별로는 상반기에 아이폰용 앱이 대부분이었지만, 상반기에는 안드로이드용도 추가로 제작되기 시작한데다 일부 앱은 삼성전자와 SK텔레콤의 후원을 받아 안드로이드 전용으로 출시됐다.
안형환 의원은 "정부가 직접 개발하는 것보다 적극적인 공공정보 공개를 통해 민간에서 앱을 개발하도록 하는 게 낫다"면서 "다만 장애인 등 소수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앱은 민간에서 만들 확률이 적기 때문에 정부기관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연세대 강정수 박사는 "기대에 못 미치지만 모바일 시대에 공무원들이 능동적으로 움직인 결과인 만큼, 책임 추궁보다는 전체적으로 효율적인 제작 및 마케팅, 관리 방안이 무엇인지 찾으면서 앱에 대한 종합적인 전략을 가져야 한다"면서 "정부가 권고하는 모바일웹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