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임승재·정운기자]북한의 연평도 포격이 23일로 한 달째를 맞았다.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비한 경계 강화 태세는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주민들은 아직까지 포격에 대한 충격과 불안감으로 연평도를 떠나 피란생활을 하고 있다. 연평도에서 지내는 100여명의 주민들도 불안감을 완전히 씻어내지 못하고 있다.

22일 연평도는 조금씩 평온을 되찾고 있었다.

지난 20일 진행됐던 군의 해상사격훈련이 끝나면서 주민들도 속속 연평도로 들어오고 있다.

이날 오전 연평도 해안가에서는 주민 4∼5명이 굴을 캐고 있었다. 포격 이후 1개월만에 조금씩 예전의 일상을 되찾아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풀어야할 문제는 산적해 있다. 주민 대다수는 연평도를 떠나 피란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포격을 맞은 마을 복구는 시작도 못했고 피해에 대한 보상 문제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피란생활 27일만인 지난 19일에야 김포 양곡지구의 아파트로 이주한 주민들의 향후 거주지도 문제다. 두 달이라는 단서를 단 '임시' 거주지이기 때문이다.

연평도 포격은 안보적인 중요성에도 불구,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서해5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

정부는 '서해5도특별지원법' 등 서해5도 챙기기에 나서고 있다. 수십년간 외면받던 서해5도 대피소 현대화도 이뤄지게 됐다.

북방한계선(NLL)을 둘러싸고는 한반도가 안고 있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다시한번 부각되기도 했다.

▲ 북한의 연평도 포격이 23일로 한달째를 맞았다. 주민들은 아직까지 포격에 대한 충격과 불안감을 완전히 씻어내지 못하고 있다. (사진 좌측위부터 시간순)북한이 발사한 포탄 수십발이 연평도에 떨어져 곳곳이 불타고 있는 현장. 포탄으로 처참하게 파괴된 가옥에서 피란갈 준비를 하고있는 한 주민. 우리 군의 해상사격훈련으로 방독면을 쓰고 대피소에 긴급대피한 주민들. 긴장감 속에 활기를 찾은 연평도 주민들이 굴까기 작업을 하고있다. /김범준기자 bjk@kyeongin.com 연평도 여행객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