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5일 발표한 가축 매몰지 사후 관리 대책은 매몰지를 24시간 밀착 감시해 환경오염의 개연성을 원천 차단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정부는 IT기술을 총동원해 매몰지의 침출수 유출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대응하고 토양 오염으로 인한 악취와 질병을 막고자 탈취와 멸균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 구제역 살처분 매몰지의 환경오염 논란과 관련 15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구제역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전체회의에서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IT기술로 구제역 매몰지 꼼꼼히 점검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구제역으로 인해 돼지는 314만두, 소는 15만두가 매몰됐다.

   돼지는 워낙 매장 규모가 커 대부분 살처분하지 않고 바로 묻는 바람에 돼지가 묻힐 때 발버둥치다 비닐막을 찢어 침출수가 유출될 우려가 큰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전국 4천400여곳의 매몰지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여 붕괴나 침출수 유출 우려가 있는 곳에 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축산농가와 해당 지방자치단체, 중앙정부로 연결할 계획이다.

   센서를 통해 매몰지에서 이상 징후가 포착되면 중앙정부가 바로 이를 인지하고서 지자체와 함께 옹벽과 차수벽을 설치하는 등 보강 공사에 나설 예정이다.

   또 GPS 정보를 이용해 전국의 매몰지 현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매몰지 관리를 전담하는 공무원을 지정해 매몰지 관리 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연구 용역을 통해 매몰지에서 나올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의 멸균을 추진하고 화학, 생물학적 방법을 활용해 매몰지 안정화 처리기술을 개발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 15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구제역 살처분가축 매몰지 환경오염논란 관련 정부 3개부처 합동브리핑에서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맹형규 행정안전부장관이 매몰지 IT센서 설치 등의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몰지 보강하면 환경오염 우려 없어" = 정부는 그동안 경상북도 낙동강 상류지역과 경기도 등지의 한강 상류지역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여 낙동강 상류는 89곳 중 61곳, 한강 상류는 74곳 중 22곳이 보강 공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들 지역은 옹벽 설치 등 보완을 하면 환경오염 우려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한편 매몰지에서 장티푸스나 탄저병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정부는 "우리나라에서 1980년대 이후 가축에서 탄저병이 발생한 사례가 없고 장티푸스는 가축에는 전염되지 않아 구제역 매몰지 침출수에서 이와 같은 질병이 발생할 개연성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부는 국민이 불안하지 않도록 매몰지 침출수와 토양에 대해 탄저균과 구제역 바이러스 등의 오염도를 지속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