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인천시가 2005년부터 추진해 온 강화조력발전소 건설사업을 백지화하는 쪽으로 정책방향을 잡아 나가고 있다. 인천 앞바다에는 두 개의 조력발전소 건설이 동시에 추진되고 있었는데 정부가 추진하는 '인천만 조력'과 인천시가 추진해 온 '강화 조력'이다. 송영길 시장은 지난 지방선거 당시 '조력발전소 반대'를 공약으로 내걸었으며, 당선 후 정부가 추진해 온 인천만조력에 원칙적으로 반대하고 시가 추진해 온 강화조력 또한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조력발전은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하나로 경제성이 높아 여러 국가에서 추진되고 있다. 조력발전소는 광범위한 공유수면에 조수를 저장할 수 있는 댐으로 이루어진다. 이 사업이 추진된다면 강화도 남단에서 영종도 남단을 연결하는 갯벌 181만㎡, 강화도 서쪽과 교동도·석모도로 둘러싸인 해역 58만㎡가 거대한 방조제로 변하게 된다. 환경운동단체를 비롯한 시민단체는 조력발전소가 들어설 경우 세계 5대 갯벌로 꼽히는 인천의 갯벌은 인공방조제에 갇히게 되고 해양생태계는 교란될 것이라고 우려해 왔다. 더구나 조력발전소가 건설될 장소는 천연기념물 및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이어서 국토해양부가 환경파괴에 앞장서는 모양새인 데다, 어획물 감소로 인한 어민들의 피해도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에너지사업의 추진이 한 지역에 집중됨으로써 예상치 못한 환경재앙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인천광역시에는 이미 7개의 화력발전소가 가동되고 있는데 해상에 두 개의 조력발전소, 덕적도의 조류발전, 무의도에는 해상 풍력발전, 소야도에는 태양·풍력발전 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앞 다투어 내놓고 있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급부상한 것은 내년부터 일정규모 이상의 발전사업자들에게 매년 2%이상의 발전량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공급하도록 한 의무할당제(RPS)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조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타당성 조사에 대해서도 "효과는 부풀리고 문제점은 축소했다"는 지적이 높았다. 상기하면 인천 앞바다를 대상으로 한 각종 신재생에너지 사업들은 일정에 쫓겨 다급히 추진됨으로써 자칫 거대한 부실공사가 될 소지를 안고 있었다는 점에서 인천시의 이번 결정은 평가할 만하다. 남은 과제는 정부를 어떻게 설득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