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10일 확정한 '2030 서울 도시기본계획안'은 서울의 중심을 용산에 두고 도심과 여의도·영등포, 강남 등 서울의 3대 핵심지역, 8개 광역연계거점, 수도권 주요도시를 광역급행 등 철도를 활용해 거미줄처럼 잇는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

   8개 광역거점은 망우, 창동·상계, 연신내·불광, 마곡, 대림·가리봉, 사당·남현, 문정·장지, 천호·길동 등 지역, 수도권 주요도시는 인천, 일산·파주, 성남, 광명·안산, 의정부, 구리, 하남, 과천 등을 의미한다.

   서울의 동북권과 서남권 등 대중교통 소외지역 곳곳에 경전철을 도입해 복합 역세권으로 환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사(放射)형 철도 교통망 구축에 일조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3핵(核)간, 3핵-수도권간 급행망 = 서울시는 향후 20년간 과제로 서울의 최중심부에 있는 용산과 도심, 여의도·영등포, 강남 등 3개 핵심 지역을 잇는 급행철도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업무 환경을 조성해 국제 중심지로 육성하려면 3개 핵과 용산 간의 원활한 교통 소통이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과 인천국제공항 등 공항·항만을 3핵 거점 간 직접 연계 체제로 만들어 인적·물적 자원의 유출입이 원활하도록 하겠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8개 광역거점은 수도권 도시에서 서울의 3핵으로 진입하는 관문 역할을 하도록 했다.

   창동·상계가 의정부·동두천, 연신내·불광 및 상암·수색은 일산·파주, 대림·가리봉은 시흥·안산, 사당·남현은 과천·수원, 망우는 구리·남양주, 문정·장지는 기흥·동탄으로부터 들어오는 관문이 되도록 할 계획이다.

   이들 지역에는 서울 외곽에서 들어와 승용차를 두고 대중교통으로 환승할 수 있는 복합환승센터를 설치하는 방안 등이 모색되고 있다.

   광역철도를 급행화하기 위해 서울 외곽 지역을 복선화하거나 열차 대피선을 설치하는 방안, 고속도로를 지하화하는 방안,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확충하는 방안 등이 다각도로 추진된다.

   ◇GTX, 신안산·신분당선 등 대안 부상 = 이 같은 큰 그림 속에 수도권 주요 지역과 8개 광역거점, 3대 핵심 지역을 이어줄 연결고리로 수도권 대심도 철도(일명 GTX), 제2 공항철도, 신안산선, 신분당선 등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우선 GTX A노선의 경우 일산 킨텍스에서 출발해 광역거점인 연신내를 지나 서울역을 들른 후 3핵 지역인 삼성역을 거쳐 판교, 기흥, 동탄으로 향하는 코스다. 수도권 서북권 지역과 동남 지역을 이어주는 거대 철도간선망이 되는 셈이다.

   B노선은 송도에서 출발해 3핵인 여의도, 용산, 서울역을 거쳐 청량리로 향하는 것으로, 서남권에서 동북권을 가로지르는 노선을 의미한다.

   C노선은 동북권인 의정부에서 출발해, 광역거점인 창동, 청량리, 3핵인 삼성역을 거쳐, 과천, 금정으로 향한다. 북부와 남부를 관통하는 수직축 역할을 한다.

   서울 동남쪽에서 강남을 거쳐 용산으로 이어지는 신분당선, 안산에서 출발해 영등포, 여의도로 들어오는 신안산선도 서남권 교통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관계자는 "20년 후라는 시점을 놓고 큰 틀에서 교통 흐름을 잡아본 것"이라면서 "아직 어떤 수단을 통해 이를 실현하겠다는 방향을 딱 규정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 취약지구엔 경전철 '해결사' 투입 = 서울시는 기존 교통 시스템뿐 아니라 '2030 계획안'으로도 대중교통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는 취약지역에 경전철을 투입해 주요 간선철도와 연결한다는 복안이다.

   우선 우이동을 출발해 수유, 서경대 등을 연결하는 우이-신설선이 2014년 9월 완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 중이다.

   중계동 은행사거리에서 월계동 등을 거쳐 왕십리로 들어오는 동북선도 2017년께 완공을 목표로 협상이 진행되고 있으며, 신내동에서 청량리로 연결되는 면목선도 추진되고 있다.

   서남권역에서는 서울대와 여의도를 잇는 신림선, 신월동과 당산역을 잇는 목동선, 서북권에선 새절과 장승배기를 연결하는 서부선, 상암DMC를 순환하는 노선을 놓고 협상이 진행 중이다.

   민자로 추진되는 경전철 건설사업에는 포스코, 고려개발, 경남기업, 두산 등이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를 검토 중이며, 2017~2018년께 완공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일산·파주, 성남, 광명·안산, 의정부, 하남 등에서 서울 도심으로 장거리 통근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서울 완결형 구조를 광역개방형 공간구조로 전환할 필요성이 제기됐다"면서 "효율성과 친환경이라는 측면을 두루 감안해 도로 중심을 철도 중심으로 개편하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