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김명호기자]국방부가 국토해양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이 추진하고 있는 인천만조력발전소 건설에 대해 부동의 의견을 냈다.
국방부는 인천만조력이 건설되면 작전에 지장이 있다고 부동의 이유를 설명, 앞으로 조력발전소 찬반 논란이 환경파괴 문제를 넘어 안보문제로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커졌다.
강화지역조력발전반대군민대책위원회(이하·강화대책위)는 국방부가 인천만조력발전사업에 대해 부동의 의견을 냈다고 12일 밝혔다.
강화대책위는 지난 3일 인천만조력발전사업에 대한 국방부의 협의 결과를 질의한 결과, 국방부로부터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의 의견을 반영해 작전상 이유로 사업에 부동의한다'라는 회신을 받았다.
인천해역방어사령부 관계자는 "인천만 조력발전이 건설될 경우 유사시 함정의 기동과 상륙 등에 지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인천대교를 건설할 때와 비슷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강화조력발전소에 대해서도 국방부는 '해병2사단의 의견을 반영해 세부계획 수립시 사전협의를 조건으로 동의한다'라고 회신했다. 조건부 동의인 셈이다.
지역 시민단체 등도 국민들의 생명을 담보로 조력발전소를 건설할 수 없다며 국방부의 의견에 환영한다는 입장을 표시했다.
강화대책위 관계자는 "조력발전 문제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며 "이 사안이 인천만의 문제가 아닌 전 국민의 안보문제로 비화됐다"라고 말했다.
인천만조력발전소 건설은 오는 2017년까지 강화도 남단과 장봉도, 용유도, 영종도로 둘러싸인 해역에 사업비 3조9천억원을 들여 시설용량 1천320㎿의 세계 최대 조력발전소를 짓는 사업이다.
강화도 주민 일부와 환경단체는 해양생태계 교란과 경제효과 부풀리기 의혹 등 여러 문제점이 드러난 이 사업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천만 조력 軍작전상 지장" 환경 이어 안보논란 가능성
국방부 '부동의' 의견 내… 시민단체 환영
입력 2011-05-12 23:56
지면 아이콘
지면
ⓘ
2011-05-13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안보도… 시민 알권리도 '무시'
2011-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