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이나 소득이 높을수록, 서울 등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폰이 주도하는 정보화 시대에도 소득과 학력으로 인한 양극화 및 격차가 발생하기 때문으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5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발간한 '국내 IT 이용에서 인구사회적 격차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기술(IT) 인프라를 가진 국내에서도 성별과 학력, 직업, 거주지 등에 따라 IT 확산과 이용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보고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지난해 하반기 15∼49세 일반인 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활용했다.

   IT 격차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품목이 최근 사용자가 1천만명을 넘어설 정도로 급속도록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이다.

   학력별 조사에서 대학원 이상 학력을 가진 이들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10명 중 4명 꼴인 40%로, 고졸 이하(17.9%)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대졸 학력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27.2%로 중간 정도에 위치했다.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이용률에서도 대학원 이상(70.8%)이 가장 높았고, 대졸(66.3%), 고졸 이하(52.4%)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무선랜 이용률 역시 대학원 이상(62.5%)이 대졸(33.7%)이나 고졸 이하(23.8%)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가구소득별로도 스마트폰 이용에 큰 차이를 보였는데, 월평균소득 500만원 이상인 가구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10명 중 2명꼴인 20.7%였다.

   그러나 400만원대(16.3%), 300만원대(14.2%), 200만원대(17.8%)는 10%대를 기록했고 특히 월소득 200만원 미만인 가구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9.9%로 500만원 이상 가구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거주지역별 분석 결과에서는 서울의 스마트폰 이용률(20%)이 수도권 도시(16.7%)나 광역시(13.7%), 지방도시(13.1%) 보다 높게 나타났고, 거주 형태로는 아파트 거주(17.6%)가 비거주(14.3%)에 비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국내에서는 성별과 연령, 직업, 소득, 거주지역, 거주형태에 따라 IT 이용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글로벌 IT 최강국이면서도 내부에서는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라 IT 디바이드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IT 격차를 축소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방향의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학습비용이 꼽히는데, 통신사업자나 단말기 제조업체가 이용교육을 강화하면 이러한 IT 격차를 해소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직업별, 소득별, 거주지역별 격차는 IT에 대한 접근성이나 지불의사 능력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보편적 서비스 개념을 강화하거나 인프라 투자 확대를 통해 지역 간 격차를 축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