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 시간대 경기지역과 서울 도심을 오가는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도민들의 안전에 '빨간불'이 켜졌다. 경기도내 인구 유입이 꾸준히 늘면서 광역버스 공급에 비해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와 서울을 연결하는 도로에는 '만차'의 광역버스가 매일같이 곡예운전을 반복하고 있다. 하지만 대책을 세워야 할 지자체들은 마땅한 묘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인구는 늘고, 버스는 없고'=경기도 인구는 2008년 1천134만명에서 지난해말 1천207만명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서울의 주택 공급 부족과 도내 대규모 택지개발에 따른 것이다. 실제 남양주·용인·광주·화성·김포·파주 등 신도시 주변 소규모 택지개발사업은 도 인구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됐다.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입하는 광역버스는 같은 기간 103개노선(1천400대)에서 155개노선(1천963대)으로 늘었지만 현실적으로 수요(이용객)에 비해 공급(버스)이 턱없이 부족하다.
■'콩나물 시루' 출·퇴근길=서울로 진출입하는 111개 광역버스 노선의 교통카드 데이터 자료를 분석한 결과(2009년 10월 기준)에 따르면 경기도에서 서울 방면(상행)으로 운행하는 94개 노선의 하루 평균 입석 승객은 9천45명이다. 또 광역버스를 운행할 때마다 평균 56명이 탑승해 9명의 정원 초과가 발생했다. 상행버스 입석 승객 중 오전 7~9시간대 이용자가 7천566명으로, 상행 전체 입석 승객의 84%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에서 경기도 방향(하행) 광역버스의 경우, 1일 5천879명이 입석으로 이용했고, 오후 6~8시에는 입석 승객이 3천132명에 달했다. 승객의 53%가 입석으로 승차한 것이다.
■서울시 '일방적 행정', 도민만 피해=현행 도로교통법상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버스에 정원 초과 탑승을 금지하고 있다. 게다가 현재 서울시는 도심권 교통 혼잡을 이유로 광역버스의 도심 진입을 억제하고 있다. 서울시는 수도권 위성 도시에서 서울 도심으로 들어오려는 광역버스 노선들이 너무 많아 극심한 교통 혼잡이 우려돼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개선 방안 없나=출퇴근 시간대 광역버스 이용객 증가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커지는 상황에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해당 노선의 증차다. 도는 서울시와의 시·도간 광역버스 노선 협의·조정 대상에서 이용수요 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증차협의 규정 제외'를 하고, 시내버스 노선연장 거리 확대 운영을 개정한다는 방침이다.
최근에는 운행 효율 증대를 위해 굴절버스·2층버스 등 다량수송시설 도입으로 운송률을 높이는 것을 검토중이다. 또한 국토해양부는 출·퇴근용 지정좌석제의 현실화를 위해 시민들의 자발적 전세버스와 유사한 '한정면허 버스제'를 내년부터 도입키로 해 그 효과가 주목되고 있다.
/조영달·이경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