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는 그래도 대여섯명의 직원들로 알차게 운영하던 공장이었습니다. 그런데 요즘들어 저희같은 작은 내수 부품공장은 완전히 찬밥이 돼 다 망하게 생겼습니다. 잘 돌아가는 수출업체는 홍보자금까지 지원해 주면서 내수업체들은 당장 쓰러져도 한푼도 얻을 수 없으니 기가 막힐 노릇입니다.”

부천의 기계부품업체 D사 대표 김모(58)씨는 요즘 돌아가는 공장을 보면 한숨만 나온다. 비록 작은 규모지만 30년 가까이 특수부품을 만들며 이어온 공장이 이제는 직원들을 다 내보내고 빈껍데기 회사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불황으로 주문도 줄어든데다가, 영세 내수기업은 돈을 빌릴 길마저 없어 결국 지난달에 마지막으로 아끼던 직원 두명마저 내보냈다. 혼자서 공장을 지키며 주문을 받고 있는데, 하루에도 몇번씩 설움이 복받쳐 눈시울을 붉힌다.

극심한 불황으로 휘청이고 있는 내수위주 중소기업들 대부분이 이와 비슷한 실정이다. 정부나 지자체의 정책자금이 수출기업과 기술집약형기업 위주로만 편성되고 있는 데다, 금융권의 대출마저 경색돼 내수위주의 일반 제조업체들은 단 몇푼의 운영자금조차 구할 수 없는 처지가 됐기 때문이다.

내수기업들은 특히 내년 예산도 수출기업이나 창업기업 지원에 몰리고 중소 내수기업의 운영자금은 외면받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실제 중기청이 내년에 책정한 예산을 보면 중소·벤처창업자금 3천억원, 소상공인창업자금 2천500억원, 수출금융지원자금 650억원 등 수출기업이나 창업기업 위주로 구성됐다. 또 보증공급도 시설자금과 창업기업, 수출기업의 무역금융보증 위주로 책정돼 인건비 위주로 운영되는 내수 중소제조업체는 '왕따'나 다름없다.

이같은 상황에서 수출위주 정책으로 원-달러 환율마저 1천200원을 오가면서 내수업체들은 원자재 구입부담마저 느껴 경영난을 겪고 있다.

인천경기가구공업협동조합 신명근 상무는 “가뜩이나 인건비 부담이 높아 저가 수입품과 도저히 경쟁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대로 간다면 가구 등 내수산업은 곧 무너지게 될 것”이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