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외상환자 급증, 사망자는 전국 최다 = 도내 중증외상 환자는 대략 1년에 1만여명(2008년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1만4천여명)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2007년 6천여명에 비해 급속도로 늘고 있다. 같은 기간 중증외상으로 인한 사망자는 2007년 4천697명, 2008년 4천774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결과적으로 경기도는 서울에 비해 중증외상환자 발생은 적지만, 사망자수는 상대적으로 많은 것이다. 이 때문에 경기도는 인구 규모가 가장 큰 경기도에 우선적으로 전문적이고 체계화된 대규모 권역중증외상센터를 건립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래프 참조
■소규모 외상센터, 무엇이 문제인가 = 가장 큰 문제점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환자수에 비례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지역별로 나눠먹기식으로 건립할 경우 투자 대비 효율성이 낮다는 지적이다. 당초 계획대로 6개 권역센터를 만들면 센터별로 전용 중환자실 150개 정도의 병상을 마련할 계획이었지만 소규모 16곳 센터로 늘리면 각 40병상 내외로 분산 배치된다. 이럴 경우 현재 응급진료 체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데다 향후 응급의료체계를 개선할 경우 중복 투자의 위험성도 있다. 응급 환자의 헬기 이송이 가능할지도 의문이다.
■센터는 있는데 전문의가 없다? = 정부는 중증외상환자 발생시 중증외상센터로 바로 이송하는 환자이송체계를 구축하고, 3교대 4개조 외상팀을 구성, 24시간 365일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외상환자 치료는 대부분의 병원이나 의사가 기피하는 분야다. 인력이 많이 필요하고, 장기간 입원환자가 많아 병원 경영에도 상당한 부담을 준다. 의사 역시 근무 강도가 높아 선호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이유로 외상전용 중환자실과 외상전담 전문의사 등 전담 인력 확보가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이 때문에 대형 중증외상센터를 건립, '선택과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풀어야할 문제 = 현재 권역 중증외상센터 설치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부지 확보와 건립에 필요한 예산이 필수적이다. 도는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이 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도 재원을 감안할 때 자체 추진은 어려운 실정이며 국비 지원이 절실하다. 이에 도는 보건복지부에 권역 중증외상센터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국비 지원과 응급 관련 법령 개정을 건의했다.
/조영달·이경진기자